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5:05

자문

조회 수 520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문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지 못한 채 사용함으로써 의도와는 달리 행위의 주체가 바뀌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자문(諮問)'입니다. '자문'은 물을 자(諮), 물을 문(問)으로 이뤄진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남에게 무엇을 묻는다'는 뜻입니다. 원래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의견을 묻는 것을 뜻했지만, 요즘은 '일을 하기 위해 어떤 방면의 전문가에게 의견을 물음'이라는 뜻으로 흔히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이 단어를 '어떤 사람의 질의에 답하는 것'이라고 잘못 알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물러난 나이팅게일은 그녀의 봉사활동에 자극받아 유럽 각국에서 막 실시하기 시작한 의료 구호 제도에 대해 자문하는 것으로 여생을 보냈다.' 이 문장은 유럽 각국의 의료 구호 관계자들이 나이팅게일에게 그 제도에 관해 물어본다는 내용인데 단어를 잘못 써서 나이팅게일이 질의하는 것으로 바뀌어버렸습니다. 여기서는 '자문' 대신 '조언'이라는 말을 썼더라면 정확한 글이 됐을 것입니다.

'필요시 전문가의 자문을 받기로 했다' '그는 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했다' 등도 어색한 표현입니다. 이것들은 '전문가에게 자문하기로 했다'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기로 했다' '변호사에게 자문했다' '변호사의 도움을 받았다' 등으로 바꾸면 됩니다.

한편 '선생님은 우리의 자문에 흔쾌히 응하셨다'의 경우는 우리가 묻고 선생님께서 답하신 것이므로 '자문'을 바르게 쓴 사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30
134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0
1345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86
1344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50
1343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694
1342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66
1341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6978
1340 쌀뜬물, 쌀뜨물 바람의종 2010.07.21 13680
1339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391
1338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47
1337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3909
1336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07
1335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31
1334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253
1333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157
1332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97
1331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630
1330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492
1329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12
1328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14
1327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570
1326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515
1325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8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