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5:05

자문

조회 수 523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문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지 못한 채 사용함으로써 의도와는 달리 행위의 주체가 바뀌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자문(諮問)'입니다. '자문'은 물을 자(諮), 물을 문(問)으로 이뤄진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남에게 무엇을 묻는다'는 뜻입니다. 원래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의견을 묻는 것을 뜻했지만, 요즘은 '일을 하기 위해 어떤 방면의 전문가에게 의견을 물음'이라는 뜻으로 흔히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이 단어를 '어떤 사람의 질의에 답하는 것'이라고 잘못 알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물러난 나이팅게일은 그녀의 봉사활동에 자극받아 유럽 각국에서 막 실시하기 시작한 의료 구호 제도에 대해 자문하는 것으로 여생을 보냈다.' 이 문장은 유럽 각국의 의료 구호 관계자들이 나이팅게일에게 그 제도에 관해 물어본다는 내용인데 단어를 잘못 써서 나이팅게일이 질의하는 것으로 바뀌어버렸습니다. 여기서는 '자문' 대신 '조언'이라는 말을 썼더라면 정확한 글이 됐을 것입니다.

'필요시 전문가의 자문을 받기로 했다' '그는 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했다' 등도 어색한 표현입니다. 이것들은 '전문가에게 자문하기로 했다'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기로 했다' '변호사에게 자문했다' '변호사의 도움을 받았다' 등으로 바꾸면 됩니다.

한편 '선생님은 우리의 자문에 흔쾌히 응하셨다'의 경우는 우리가 묻고 선생님께서 답하신 것이므로 '자문'을 바르게 쓴 사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0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6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616
2116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380
2115 애시당초 바람의종 2010.03.03 7658
2114 ‘Mac-,Mc-’의 한글 표기 바람의종 2010.03.03 11244
2113 동서남북 순서 바람의종 2010.03.03 8883
2112 코펠 바람의종 2010.03.03 12540
2111 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3.03 11677
2110 밥힘, 밥심 바람의종 2010.03.02 12869
2109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03.02 9000
2108 들르다와 들리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02 11610
2107 넥타이는 매고,배낭은 멘다 바람의종 2010.03.02 10190
2106 그르이께 어짤랑교? 바람의종 2010.03.02 6172
2105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890
2104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54
2103 ~데 반해 / ~데 비해 바람의종 2010.02.28 17586
2102 장수와 장사 바람의종 2010.02.28 9757
2101 호나우두(Ronaldo)와 호날두(Ronaldo) 바람의종 2010.02.28 12699
2100 블루스 바람의종 2010.02.28 9032
2099 폭발, 폭팔, 폭파시키다 바람의종 2010.02.25 13945
2098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864
2097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26
2096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28
2095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2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