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5:05

자문

조회 수 522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문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지 못한 채 사용함으로써 의도와는 달리 행위의 주체가 바뀌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자문(諮問)'입니다. '자문'은 물을 자(諮), 물을 문(問)으로 이뤄진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남에게 무엇을 묻는다'는 뜻입니다. 원래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의견을 묻는 것을 뜻했지만, 요즘은 '일을 하기 위해 어떤 방면의 전문가에게 의견을 물음'이라는 뜻으로 흔히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이 단어를 '어떤 사람의 질의에 답하는 것'이라고 잘못 알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물러난 나이팅게일은 그녀의 봉사활동에 자극받아 유럽 각국에서 막 실시하기 시작한 의료 구호 제도에 대해 자문하는 것으로 여생을 보냈다.' 이 문장은 유럽 각국의 의료 구호 관계자들이 나이팅게일에게 그 제도에 관해 물어본다는 내용인데 단어를 잘못 써서 나이팅게일이 질의하는 것으로 바뀌어버렸습니다. 여기서는 '자문' 대신 '조언'이라는 말을 썼더라면 정확한 글이 됐을 것입니다.

'필요시 전문가의 자문을 받기로 했다' '그는 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했다' 등도 어색한 표현입니다. 이것들은 '전문가에게 자문하기로 했다'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기로 했다' '변호사에게 자문했다' '변호사의 도움을 받았다' 등으로 바꾸면 됩니다.

한편 '선생님은 우리의 자문에 흔쾌히 응하셨다'의 경우는 우리가 묻고 선생님께서 답하신 것이므로 '자문'을 바르게 쓴 사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0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6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585
2116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71
2115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670
2114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67
2113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664
2112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59
2111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55
2110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52
2109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49
2108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48
2107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47
2106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47
2105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3
2104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41
2103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40
2102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37
2101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36
2100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36
2099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634
2098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31
2097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627
2096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623
2095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