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5:03

가능한, 가능한 한

조회 수 781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능한, 가능한 한

'가능한'과 '가능한 한'은 다르다. 단어와 구(句)라는 점뿐만 아니라 문장에서 하는 구실도 다르다. '가능한'은 '가능하다'의 관형사형으로 이 말 뒤에는 '가능한 일[것 등]' '가능한 수단[조치·방법·경우 등]'처럼 '가능한'의 꾸밈을 받는 명사가 나와야 한다. '가능한 수단과 방법을 모두 동원했지만 그녀를 설득할 수 없었다' '코트 어느 곳에서든 득점이 가능한 멀티 플레이어 재목들이 연달아 나왔다' 등은 바르게 쓰인 예다.

'가능한 한'은 '가능한 범위 안에서' 또는 '가능한 조건하에서'를 의미하는 부사구다. 따라서 그 뒤에는 '가능한 한'이 꾸밀 수 있는 부사어나 동작을 나타내는 말이 따라와야 한다. 그런데 '가능한 한'으로 써야 할 것을 맨 뒤의 '한'을 생략하는 경우가 눈에 자주 띈다. '가능한 빨리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와 같은 문장에서는 '가능한'의 꾸밈을 받는 명사가 없다. 따라서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가능한' 뒤에 '한'(조건을 나타내는 명사)을 넣어 '가능한 한 빨리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라고 해야 바른 문장이다.

아래와 같은 문장에서도 '가능한'을 모두 '가능한 한'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잘못이나 문제점을 가능한 빨리, 정확하게, 나무라지 않으면서 설명한다.'
-'제3국의 이미지를 깎아내리는 보도는 가능한 하지 말자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가능한'이 '가능한 한'을 대신할 수는 없다. 그 역(逆)도 마찬가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51
2116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726
2115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724
2114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724
2113 밧다리, 밭다리, 받다리 바람의종 2010.08.06 9720
2112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719
2111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719
2110 맞장(맞짱) 바람의종 2009.09.27 9716
2109 녹초가 되다 바람의종 2007.12.30 9714
2108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8.02.18 9714
2107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711
2106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711
2105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706
2104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705
2103 복구, 복귀 바람의종 2009.09.23 9704
2102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700
2101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699
2100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95
2099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688
2098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683
2097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682
2096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81
2095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