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4 01:42

애매모호

조회 수 526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애매모호

'말이나 태도가 흐리터분해 분명하지 않다'는 뜻으로 쓰는 단어들로 '모호하다''애매하다''애매모호하다'가 있다. 한자어 '모호(模糊)'와 '애매(曖昧)'는 같은 뜻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분명하지 않음'의 뜻으로 원래 '모호'만 사용하고 '애매'는 쓰지 않았다. 우리와 달리 일본에서는 '애매'와 '애매모호'도 '모호'와 같은 뜻으로 쓰고 있다. 이것을 다시 우리가 받아들여 사용함으로써 '모호하다' 외에 '애매하다''애매모호하다'가 함께 쓰이고 있으며, 지금은 국어사전에도 모두 올라 있다. 그러나 같은 의미의 단어인데 굳이 일본식인 '애매하다''애매모호하다'를 쓸 필요가 없다. '애매모호'는 더구나 같은 뜻을 가진 단어의 중복 형태다.

더 큰 문제는 한자어 '애매(曖昧)하다'와 별개로 순 우리말 '애매하다'가 있어 혼란스럽다는 점이다. 순 우리말로서의 '애매하다'는 '아무 잘못 없이 꾸중을 듣거나 벌을 받아 억울하다'는 뜻이다. '애매하게 누명을 쓰고 옥살이를 했다' '애매한 사람을 죽이려 들지 마라' 등에서처럼 쓰인다. '애매한 정책이 애매한 사람을 잡고 있다'고 할 경우 앞뒤의 '애매'는 각각 의미가 다른 단어다. 앞의 '애매한'은 '불분명한'을 뜻하는 한자어이며, 뒤의 '애매한'은 '애꿎은''억울한'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이 경우 '모호한 정책이 애매한 사람을 잡고 있다'고 해야 훨씬 의미가 명확해진다. '불분명하다'는 뜻으로는 '모호하다' 하나만 쓰고, '아무 잘못 없이 억울하게 당한다'는 뜻으로는 순 우리말 '애매하다'를 쓰는 것이 합리적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3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178
1346 지긋이, 지그시 바람의종 2008.11.13 10492
1345 'ㅣ'모음 역행동화 바람의종 2008.11.14 7084
1344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80
» 애매모호 바람의종 2008.11.14 5264
1342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785
1341 자문 바람의종 2008.11.15 5245
1340 벗어지다, 벗겨지다 바람의종 2008.11.15 8103
1339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64
1338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796
1337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86
1336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08.11.18 7827
1335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76
1334 니가, 지가 바람의종 2008.11.18 5349
1333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74
1332 핸드폰, 휴대전화 바람의종 2008.11.19 6883
1331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7
1330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526
1329 오랫만, 오랜만 바람의종 2008.11.20 14845
1328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48
1327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790
1326 왕따, 가마리 바람의종 2008.11.21 6450
1325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7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