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4 01:42

애매모호

조회 수 525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애매모호

'말이나 태도가 흐리터분해 분명하지 않다'는 뜻으로 쓰는 단어들로 '모호하다''애매하다''애매모호하다'가 있다. 한자어 '모호(模糊)'와 '애매(曖昧)'는 같은 뜻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분명하지 않음'의 뜻으로 원래 '모호'만 사용하고 '애매'는 쓰지 않았다. 우리와 달리 일본에서는 '애매'와 '애매모호'도 '모호'와 같은 뜻으로 쓰고 있다. 이것을 다시 우리가 받아들여 사용함으로써 '모호하다' 외에 '애매하다''애매모호하다'가 함께 쓰이고 있으며, 지금은 국어사전에도 모두 올라 있다. 그러나 같은 의미의 단어인데 굳이 일본식인 '애매하다''애매모호하다'를 쓸 필요가 없다. '애매모호'는 더구나 같은 뜻을 가진 단어의 중복 형태다.

더 큰 문제는 한자어 '애매(曖昧)하다'와 별개로 순 우리말 '애매하다'가 있어 혼란스럽다는 점이다. 순 우리말로서의 '애매하다'는 '아무 잘못 없이 꾸중을 듣거나 벌을 받아 억울하다'는 뜻이다. '애매하게 누명을 쓰고 옥살이를 했다' '애매한 사람을 죽이려 들지 마라' 등에서처럼 쓰인다. '애매한 정책이 애매한 사람을 잡고 있다'고 할 경우 앞뒤의 '애매'는 각각 의미가 다른 단어다. 앞의 '애매한'은 '불분명한'을 뜻하는 한자어이며, 뒤의 '애매한'은 '애꿎은''억울한'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이 경우 '모호한 정책이 애매한 사람을 잡고 있다'고 해야 훨씬 의미가 명확해진다. '불분명하다'는 뜻으로는 '모호하다' 하나만 쓰고, '아무 잘못 없이 억울하게 당한다'는 뜻으로는 순 우리말 '애매하다'를 쓰는 것이 합리적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9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452
2116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71
2115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670
2114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67
2113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664
2112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59
2111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55
2110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52
2109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49
2108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48
2107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47
2106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3
210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43
2104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41
2103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40
2102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37
2101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36
2100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33
2099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31
2098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630
2097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625
2096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22
2095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6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