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4 01:40

잇달다, 잇따르다

조회 수 8161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잇달다, 잇따르다

사회는 늘 변화하며 발전합니다. 새해 새 희망으로 기세 좋게 출발해 모든 일이 순조롭게 풀리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우리 모두는 울고 웃으며 살아갑니다. '일이나 현상의 변화와 연속성'하면 떠오르는 용어가 있는데요. '행위나 상태가 끊이지 않고 이어짐'을 뜻하는 말로 '잇달다'와 '잇따르다'가 있습니다. 둘 다 표준어지만 품사적으로 용례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①유세장에 인파가 잇달았다. 실종사건이 잇달아 발생했다.
②화물칸을 객차 뒤에 잇달았다. 단추에 단추를 잇단 옷매무새.

①의 '잇달다'는 자동사적 용법으로서 '어떤 사고나 행위 등이 계속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②에서의 '잇달다'는 목적어가 있는 타동사적 용법으로서 주로 '~을 ~에 잇달다'의 형태로 구성돼 '일정한 모양이 있는 사물을 다른 사물에 이어 달다'의 뜻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가 하면 '잇따르다'는 '(행운.비난 따위가)잇따르다' '대통령의 가두행진에 보도 차량이 잇따랐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자동사로 주로 활용되며, 그 뜻 역시 움직이는 물체가 다른 물체 뒤를 이어 따르거나 사건.행동 따위가 연이어 발생한다는 것으로 '잇달다'의 자동사적 용법과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덧붙여 하나 더 알아둘 게 있는데요. '잇달다'와 '잇따르다'의 관형형은 각각 '잇단'과 '잇따른'이라는 것입니다. '잇딴 사고' '잇달은 점포' 등의 표기는 잘못된 것이니 기억했으면 합니다.


-
'잇딴 사고'의 '잇딴'은 잘못이다. '잇달다'와 '잇따르다'의 관형형은 '잇단'과 '잇따른'이므로 '잇단 사고'와 '잇따른 사고'가 옳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66
1346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627
1345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632
1344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634
1343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36
1342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37
1341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637
1340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642
1339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44
1338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5
1337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48
1336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49
1335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50
1334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51
1333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53
1332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55
1331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59
1330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59
1329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60
1328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61
1327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662
1326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665
1325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6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