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4 01:35

'ㅣ'모음 역행동화

조회 수 709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ㅣ'모음 역행동화

딸을 인신매매한 남자들을 상대로 복수극을 펼치는 어머니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에미', 봄날 들판에 아물아물 피어오르는 '아지랭이', 젖먹이 아이나 나이가 많지 않은 딸·며느리를 정답게 이르는 말인 '애기', 체면이 깎이는 일이나 아니꼬운 일을 당해 그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낄 때 쓰는 말인 '챙피하다' 등은 흔히 널리 쓰이는 말이지만 표준말이 아니다. 현대 국어에서는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말들은 방언으로 보아 원칙적으로 표준말로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어미''아지랑이''아기''창피하다' 등으로 써야 옳다.

'ㅣ'모음 역행동화란 뒤의 'ㅣ'모음 혹은 'ㅣ'모음을 갖고 있는 이중모음(야, 여, 요, 유)의 영향을 받아 앞의 '아, 어, 오, 우'가 각각 '애, 에, 외, 위'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예컨대 '곰팡이, 다리미, 손잡이, 아기, 아지랑이, 어미, 지팡이, 지푸라기, 창피하다, 학교' 등을 '곰팽이, 대리미, 손잽이, 애기, 아지랭이, 에미, 지팽이, 지푸래기, 챙피하다, 핵교' 등으로 말하는 것을 이른다.

그런데 이 원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 '경험이 없어서 일에 서투른 사람이나 차분하지 못해 객기를 잘 부리는 사람'을 일컫는 말인 '풋내기'를 비롯해 '-내기' 형태를 취하는 몇몇 단어(새내기, 서울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에서는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형태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냄비, 동댕이치다, 올챙이'등도 이와 마찬가지다. 이는 이러한 말을 널리 사용하는 언어 현실을 무시하기 어려운 사정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9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6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393
1346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361
1345 요, 오 風磬 2006.09.09 20535
1344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259
1343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816
1342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351
1341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564
1340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939
1339 바람의종 2013.01.25 17979
1338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203
1337 등용문 바람의종 2013.01.15 18118
1336 두루 흐린 온누리 바람의종 2013.01.04 21128
1335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519
1334 폭탄주! 말지 말자. 바람의종 2012.12.17 19335
1333 외래어 합성어 적기 1 바람의종 2012.12.12 20524
1332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954
1331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575
1330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907
1329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721
1328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8021
1327 황제 바람의종 2012.11.02 18839
1326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196
1325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9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