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4 01:35

'ㅣ'모음 역행동화

조회 수 710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ㅣ'모음 역행동화

딸을 인신매매한 남자들을 상대로 복수극을 펼치는 어머니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에미', 봄날 들판에 아물아물 피어오르는 '아지랭이', 젖먹이 아이나 나이가 많지 않은 딸·며느리를 정답게 이르는 말인 '애기', 체면이 깎이는 일이나 아니꼬운 일을 당해 그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낄 때 쓰는 말인 '챙피하다' 등은 흔히 널리 쓰이는 말이지만 표준말이 아니다. 현대 국어에서는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말들은 방언으로 보아 원칙적으로 표준말로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어미''아지랑이''아기''창피하다' 등으로 써야 옳다.

'ㅣ'모음 역행동화란 뒤의 'ㅣ'모음 혹은 'ㅣ'모음을 갖고 있는 이중모음(야, 여, 요, 유)의 영향을 받아 앞의 '아, 어, 오, 우'가 각각 '애, 에, 외, 위'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예컨대 '곰팡이, 다리미, 손잡이, 아기, 아지랑이, 어미, 지팡이, 지푸라기, 창피하다, 학교' 등을 '곰팽이, 대리미, 손잽이, 애기, 아지랭이, 에미, 지팽이, 지푸래기, 챙피하다, 핵교' 등으로 말하는 것을 이른다.

그런데 이 원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 '경험이 없어서 일에 서투른 사람이나 차분하지 못해 객기를 잘 부리는 사람'을 일컫는 말인 '풋내기'를 비롯해 '-내기' 형태를 취하는 몇몇 단어(새내기, 서울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에서는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형태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냄비, 동댕이치다, 올챙이'등도 이와 마찬가지다. 이는 이러한 말을 널리 사용하는 언어 현실을 무시하기 어려운 사정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20
2556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7026
2555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7028
2554 입장(立場)을 바꿔보자 바람의종 2008.04.26 7028
2553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7029
2552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7029
2551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7035
2550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7035
2549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7035
2548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7037
2547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7038
2546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7040
2545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40
2544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44
2543 맑다와 밝다 바람의종 2008.02.27 7047
2542 우리애기 바람의종 2009.04.03 7047
2541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7051
2540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7053
2539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55
2538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59
2537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7061
2536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7064
2535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70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