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3 01:22

지긋이, 지그시

조회 수 1045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긋이, 지그시

'아랫입술을 지긋이 깨물었다'와 '아랫입술을 지그시 깨물었다' 중 어느 것이 바를까요? '물고기가 물 때까지 지그시 기다리다'와 '물고기가 물 때까지 지긋이 기다리다'는요?

'지그시'는 두 가지 뜻으로 사용되는 부사입니다.

첫째는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손바닥을 사용해 눈가를 지그시 눌러주면 피곤한 눈을 진정시켜 줄 수 있다'
'질화로는 지그시 누르는 넓적한 불돌 아래, 밤새도록 저 혼자 불을 지니고 보호하는 미덥고 덕성(德性)스러운 것이었다'
'그는 지그시 눈을 감았다' 와 같이 쓰입니다.

둘째는 '아픔이나 어려움을 조용히 참고 견디는 모양'을 표현합니다.
'두통을 지그시 참다' '그의 태도에 분노가 일었지만 지그시 참았다' 등의 '지그시'가 그런 사례입니다.

'지긋이'는 '지긋하다'에서 온 부사이며 역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나이가 비교적 많아 듬직하다'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예를 들면
'앞에 앉은 남자 두 명은 나이가 지긋이 들어 보였다'와 같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둘째는 '참을성 있고 끈지게'라는 뜻으로 씁니다.
'우경이는 아직 어려서 책상 앞에 지긋이 앉아 있지 못 한다'
'그렇게 안달하지 말고 지긋이 기다려 봐' 에서 '지긋이'는 '끈기 있게'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서두에 나온 문제 중 첫째 것은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을 나타내므로 '지그시'가 맞고, 둘째 것은 '끈기 있게'의 뜻이므로 '지긋이'가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20
134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0
1345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86
1344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50
1343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694
1342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56
1341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6978
1340 쌀뜬물, 쌀뜨물 바람의종 2010.07.21 13680
1339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391
1338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43
1337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3909
1336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04
1335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31
1334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253
1333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154
1332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72
1331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628
1330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492
1329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12
1328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10
1327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569
1326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509
1325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8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