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3 01:22

지긋이, 지그시

조회 수 1049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긋이, 지그시

'아랫입술을 지긋이 깨물었다'와 '아랫입술을 지그시 깨물었다' 중 어느 것이 바를까요? '물고기가 물 때까지 지그시 기다리다'와 '물고기가 물 때까지 지긋이 기다리다'는요?

'지그시'는 두 가지 뜻으로 사용되는 부사입니다.

첫째는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손바닥을 사용해 눈가를 지그시 눌러주면 피곤한 눈을 진정시켜 줄 수 있다'
'질화로는 지그시 누르는 넓적한 불돌 아래, 밤새도록 저 혼자 불을 지니고 보호하는 미덥고 덕성(德性)스러운 것이었다'
'그는 지그시 눈을 감았다' 와 같이 쓰입니다.

둘째는 '아픔이나 어려움을 조용히 참고 견디는 모양'을 표현합니다.
'두통을 지그시 참다' '그의 태도에 분노가 일었지만 지그시 참았다' 등의 '지그시'가 그런 사례입니다.

'지긋이'는 '지긋하다'에서 온 부사이며 역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나이가 비교적 많아 듬직하다'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예를 들면
'앞에 앉은 남자 두 명은 나이가 지긋이 들어 보였다'와 같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둘째는 '참을성 있고 끈지게'라는 뜻으로 씁니다.
'우경이는 아직 어려서 책상 앞에 지긋이 앉아 있지 못 한다'
'그렇게 안달하지 말고 지긋이 기다려 봐' 에서 '지긋이'는 '끈기 있게'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서두에 나온 문제 중 첫째 것은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을 나타내므로 '지그시'가 맞고, 둘째 것은 '끈기 있게'의 뜻이므로 '지긋이'가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97
1346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347
1345 요, 오 風磬 2006.09.09 20518
1344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221
1343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796
1342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319
1341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526
1340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933
1339 바람의종 2013.01.25 17979
1338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189
1337 등용문 바람의종 2013.01.15 18118
1336 두루 흐린 온누리 바람의종 2013.01.04 21124
1335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505
1334 폭탄주! 말지 말자. 바람의종 2012.12.17 19333
1333 외래어 합성어 적기 1 바람의종 2012.12.12 20518
1332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950
1331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570
1330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897
1329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712
1328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8001
1327 황제 바람의종 2012.11.02 18817
1326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190
1325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9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