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03 06:35

"뿐"의 띄어쓰기

조회 수 9300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뿐"의 띄어쓰기


요즘 세태를 보고 있노라면 답답한 마음을 지울 수 없다. '우리'라는 말은 실종되고, '나뿐'이라며 자신만 살겠다고 하는 '님비(NIMBY·not in my backyard)' 현상이 정치·경제 분야 등 사회 곳곳에 널리 퍼져 있다. 이런 가운데서도 어느 성당 마당에 서 있는 '우리 함께 할게요'라는 무료 배식 차량의 문구는 아직까지 희망이 있음을 보여준다.

앞에서 보이는 '나뿐'에서의 '뿐'은 그 쓰임이 다양하다. 그렇기에 쓰임에 따라 품사도 달라질 뿐만 아니라 띄어쓰기도 달라진다. 그 모습을 살펴보자.

'뿐'이 어미 '-을'의 뒤에 쓰여 '다만 어떠하거나 어찌할 따름'이라는 뜻(그는 웃고만 있을 뿐이다.)이거나, '-다 뿐이지' 구성으로 쓰여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뜻(이름이 나지 않았다 뿐이지 성실한 사람이다.)일 때는 의존명사로 띄어 쓴다.

그런데 '뿐'이 체언이나 부사어 뒤에 붙어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의 뜻(우리 민족의 염원은 통일뿐이다./진규는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집에서도 말을 잘 듣는다.)일 때는 보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또한 '-ㄹ(을)뿐더러' 형태로 쓰여 '어떤 일이 그것만으로 그치지 않고 나아가 다른 일이 더 있다'의 뜻(장미는 꽃이 예쁠뿐더러 향기도 좋다.)일 때도 연결어미이므로 붙여 쓴다.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 발간(1999년) 이전 사전에서는 '뿐만 아니라'를 구(句)나 접속부사로 처리해 문장의 맨 앞에 오는 것을 허용했으나 이는 잘못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87
2094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621
2093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048
2092 요, 오 風磬 2006.09.09 20340
2091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134
2090 개차반 風磬 2006.09.14 16212
2089 겻불 風磬 2006.09.14 16122
2088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219
2087 게거품 風磬 2006.09.14 19609
2086 고명딸 風磬 2006.09.16 15744
2085 고뿔 風磬 2006.09.16 15593
2084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73
2083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403
2082 곤죽 風磬 2006.09.29 12419
2081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526
2080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177
2079 꼬투리 風磬 2006.10.10 13710
2078 나리 風磬 2006.10.10 16955
2077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1086
2076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159
2075 넋두리 風磬 2006.10.30 8558
2074 넓이뛰기 風磬 2006.10.30 10500
2073 뇌까리다 風磬 2006.10.30 11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