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47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사람의 신체와 관련된 단어들로 흔히 잘못 쓰는 것이 몇몇 있습니다. 오늘은 그런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남자들은 보통 사춘기가 되면 남성 호르몬의 영향으로 수염이 자라나게 됩니다. 수염은 돋아나는 부위에 따라 코밑에 나는 것은 콧수염, 턱밑에 나는 것은 턱수염이라고 하지요. 그러면 귀 있는 곳에서 턱까지 이어지는 볼 부분에 돋아나는 수염은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이렇게 다양하게 쓰고 있지만 모두 잘못이며 '구레나룻'이 맞는 말입니다.

'나룻'은 수염의 고유어입니다. 그리고 '구레'는 '굴레'에서 온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이제 조금 위쪽으로 올라가 옆머리의 귀와 눈 사이를 만져보면 맥박이 뛰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곳을 흔히 '관자노리'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이것은 틀린 말이고 '관자놀이'가 바른 말입니다. 옛날 머리에 망건(網巾)을 쓰던 시절 이 부분의 맥동 때문에 망건의 관자가 움직인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랍니다. 몸속에 있는 부분도 잘못 쓰는 데서 예외가 아니죠. 배와 가슴 사이에는 막이 하나 있는데 수축하고 이완하면서 호흡하는 것을 돕습니다. 이 막이 경련을 일으키면 들이쉬는 숨이 방해를 받아 딸꾹질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것의 이름은 횡격막(橫膈膜)인데 흔히 소리나는 대로 '횡경막'이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횡격막은 가로막·격막이라고도 합니다. 한자의 뜻을 생각해 보면 소리에 끌려가 잘못 쓰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32
1368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27
1367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530
1366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1
1365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531
1364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3
1363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35
1362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35
1361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36
1360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37
1359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38
1358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542
1357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45
1356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49
1355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51
1354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551
1353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53
1352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53
1351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57
1350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59
1349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61
1348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63
1347 내 자신 바람의종 2010.07.05 95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