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31 13:19

끼여들기

조회 수 908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끼여들기

최근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가 크게 줄고 있지만 사망률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음주 운전 등 사고 원인은 여러 가지지만 '끼여들기'가 한몫 하고 있다. 잦은 '끼여들기'는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지도 못하면서 사고 위험만 높이고 거리 질서를 어지럽히는 잘못된 운전 습관이다.

앞글에서처럼 '차가 옆 차선으로 무리하게 비집고 들어서는 일'을 '끼여들기'로 쓰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잘못이다. '끼어들기'로 써야 한다. '끼어들기'의 발음이 [끼어들기/끼여들기]로 나기 때문에 '끼어들기'와 '끼여들기'가 섞여 쓰이는 것 같다. 더구나 예전의 국어사전들은 '끼어들다'와 '끼어들기'를 표제어로 올리지 않았다. 그래서 '끼이다(무리 가운데 섞이다)'와 '들다(밖에서 속이나 안으로 향해 가거나 오거나 하다)'의 합성어로 보아 '끼이어들다→끼여들다' 형태로 판단해 '끼여들다'로 잘못 쓴 것 같다.

국립국어연구원은 1999년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자기 순서나 자리가 아닌 틈 사이를 비집고 들어서다'란 뜻으로 '끼어들다'만을 표준어로 인정했다. 그러므로 '끼어들다'의 어간 '끼어들-'에 명사형 어미 '-기'가 붙어 '끼어들기'란 명사가 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날이 추워지면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 도로 사정도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때 잘못 '끼어들기'를 한다면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62
189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76
1895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75
1894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74
1893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169
189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63
1891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159
1890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57
1889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56
1888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55
1887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5
1886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54
1885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1
1884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49
1883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47
1882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143
1881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880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39
1879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36
1878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36
1877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34
1876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30
1875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1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