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31 13:19

끼여들기

조회 수 903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끼여들기

최근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가 크게 줄고 있지만 사망률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음주 운전 등 사고 원인은 여러 가지지만 '끼여들기'가 한몫 하고 있다. 잦은 '끼여들기'는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지도 못하면서 사고 위험만 높이고 거리 질서를 어지럽히는 잘못된 운전 습관이다.

앞글에서처럼 '차가 옆 차선으로 무리하게 비집고 들어서는 일'을 '끼여들기'로 쓰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잘못이다. '끼어들기'로 써야 한다. '끼어들기'의 발음이 [끼어들기/끼여들기]로 나기 때문에 '끼어들기'와 '끼여들기'가 섞여 쓰이는 것 같다. 더구나 예전의 국어사전들은 '끼어들다'와 '끼어들기'를 표제어로 올리지 않았다. 그래서 '끼이다(무리 가운데 섞이다)'와 '들다(밖에서 속이나 안으로 향해 가거나 오거나 하다)'의 합성어로 보아 '끼이어들다→끼여들다' 형태로 판단해 '끼여들다'로 잘못 쓴 것 같다.

국립국어연구원은 1999년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자기 순서나 자리가 아닌 틈 사이를 비집고 들어서다'란 뜻으로 '끼어들다'만을 표준어로 인정했다. 그러므로 '끼어들다'의 어간 '끼어들-'에 명사형 어미 '-기'가 붙어 '끼어들기'란 명사가 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날이 추워지면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 도로 사정도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때 잘못 '끼어들기'를 한다면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32
1918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45
1917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319
1916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69
1915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713
1914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087
1913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089
1912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429
1911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966
1910 배부, 배포 바람의종 2012.03.05 19301
1909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42
1908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498
1907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056
1906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73
1905 배워 주다 바람의종 2010.01.23 11278
1904 배제의 용어, '학번' / '둠벙'과 생태계 風文 2020.07.10 1980
1903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21
1902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35
1901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197
1900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16
1899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03
1898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08
1897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1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