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31 13:19

끼여들기

조회 수 905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끼여들기

최근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가 크게 줄고 있지만 사망률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음주 운전 등 사고 원인은 여러 가지지만 '끼여들기'가 한몫 하고 있다. 잦은 '끼여들기'는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지도 못하면서 사고 위험만 높이고 거리 질서를 어지럽히는 잘못된 운전 습관이다.

앞글에서처럼 '차가 옆 차선으로 무리하게 비집고 들어서는 일'을 '끼여들기'로 쓰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잘못이다. '끼어들기'로 써야 한다. '끼어들기'의 발음이 [끼어들기/끼여들기]로 나기 때문에 '끼어들기'와 '끼여들기'가 섞여 쓰이는 것 같다. 더구나 예전의 국어사전들은 '끼어들다'와 '끼어들기'를 표제어로 올리지 않았다. 그래서 '끼이다(무리 가운데 섞이다)'와 '들다(밖에서 속이나 안으로 향해 가거나 오거나 하다)'의 합성어로 보아 '끼이어들다→끼여들다' 형태로 판단해 '끼여들다'로 잘못 쓴 것 같다.

국립국어연구원은 1999년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자기 순서나 자리가 아닌 틈 사이를 비집고 들어서다'란 뜻으로 '끼어들다'만을 표준어로 인정했다. 그러므로 '끼어들다'의 어간 '끼어들-'에 명사형 어미 '-기'가 붙어 '끼어들기'란 명사가 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날이 추워지면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 도로 사정도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때 잘못 '끼어들기'를 한다면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3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245
1918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97
1917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192
1916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90
191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81
1914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75
191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73
1912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62
1911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61
1910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60
1909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59
1908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9
190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56
190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52
1905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49
1904 바람의종 2007.09.22 9147
1903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44
1902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43
1901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41
1900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38
1899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36
1898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36
1897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