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31 13:19

끼여들기

조회 수 910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끼여들기

최근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가 크게 줄고 있지만 사망률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음주 운전 등 사고 원인은 여러 가지지만 '끼여들기'가 한몫 하고 있다. 잦은 '끼여들기'는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지도 못하면서 사고 위험만 높이고 거리 질서를 어지럽히는 잘못된 운전 습관이다.

앞글에서처럼 '차가 옆 차선으로 무리하게 비집고 들어서는 일'을 '끼여들기'로 쓰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잘못이다. '끼어들기'로 써야 한다. '끼어들기'의 발음이 [끼어들기/끼여들기]로 나기 때문에 '끼어들기'와 '끼여들기'가 섞여 쓰이는 것 같다. 더구나 예전의 국어사전들은 '끼어들다'와 '끼어들기'를 표제어로 올리지 않았다. 그래서 '끼이다(무리 가운데 섞이다)'와 '들다(밖에서 속이나 안으로 향해 가거나 오거나 하다)'의 합성어로 보아 '끼이어들다→끼여들다' 형태로 판단해 '끼여들다'로 잘못 쓴 것 같다.

국립국어연구원은 1999년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자기 순서나 자리가 아닌 틈 사이를 비집고 들어서다'란 뜻으로 '끼어들다'만을 표준어로 인정했다. 그러므로 '끼어들다'의 어간 '끼어들-'에 명사형 어미 '-기'가 붙어 '끼어들기'란 명사가 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날이 추워지면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 도로 사정도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때 잘못 '끼어들기'를 한다면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411
1544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92
154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98
1542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203
1541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205
1540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208
1539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209
1538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214
1537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219
1536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219
1535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227
1534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227
1533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30
1532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230
1531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232
1530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34
1529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34
1528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236
1527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239
1526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240
1525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241
1524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242
1523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