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30 03:51

신토불이

조회 수 744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토불이

'회남에서 자란 귤나무를 회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열린다(橘化爲枳·귤화위지)'는 말이 있습니다. 사람도 처한 환경에 따라 본래의 우수한 형질이 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요즘 우리 사회에서 되새겨 볼 부분은 없는지 생각하게 됩니다.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마음의 안식마저 잃다 보니 '우리 땅'을 버리고 떠나는 사람이 많습니다. 서울 강남학군으로의 무분별한 이주, 이민, 원정 출산 등등. 여러 가지 좋지 않은 사회 환경이 원인이긴 하지만 정작 소중한 '우리 것'까지 잃어버리지 않을까 염려되는 면도 있습니다.

농산물을 판매하는 매장에 가면 '신토불이(身土不二)'라고 큼직하게 쓰인 플래카드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 것이 우수하다는 것을 홍보하는 것 같은데 정확한 뜻과 어원이 무엇인지 궁금했습니다. '신체(身)와 환경(土)은 뗄 수 없는 것'이라는 뜻으로, 모방문화가 발달한 일본에서 만들어져 식생활 용어로 둔갑해 사용하고 있는 말입니다. 불교 용어 중 '불신국토(佛身國土)'에서 '신토'를, 사찰에 들어가는 세 문 중 '해탈의 경지에 드는 마지막 문'인 '불이문(不二門)'에서 '불이'를 따 합쳐 탄생된 말이 '신토불이'입니다.

일본에서조차 본래 뜻과는 다르게 변질돼 사용되고 있는 것을 우리 농산물을 판매하는 곳에서 버젓이 걸어놓고 자랑스레 사용하고 있다는 건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신토불이'는 마땅히 '우리 몸엔 우리 농산물' 정도로 고쳐 사용해야 하리란 생각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9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451
1390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30
1389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61
1388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57
1387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80
1386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88
1385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124
1384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80
1383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55
1382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54
1381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728
138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521
1379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836
1378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688
1377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715
1376 첩첩산중 바람의종 2008.10.26 10960
1375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71
1374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77
1373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33
137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63
1371 린치, 신나, 섬머 바람의종 2008.10.29 7180
1370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51
»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