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30 03:51

신토불이

조회 수 743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토불이

'회남에서 자란 귤나무를 회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열린다(橘化爲枳·귤화위지)'는 말이 있습니다. 사람도 처한 환경에 따라 본래의 우수한 형질이 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요즘 우리 사회에서 되새겨 볼 부분은 없는지 생각하게 됩니다.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마음의 안식마저 잃다 보니 '우리 땅'을 버리고 떠나는 사람이 많습니다. 서울 강남학군으로의 무분별한 이주, 이민, 원정 출산 등등. 여러 가지 좋지 않은 사회 환경이 원인이긴 하지만 정작 소중한 '우리 것'까지 잃어버리지 않을까 염려되는 면도 있습니다.

농산물을 판매하는 매장에 가면 '신토불이(身土不二)'라고 큼직하게 쓰인 플래카드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 것이 우수하다는 것을 홍보하는 것 같은데 정확한 뜻과 어원이 무엇인지 궁금했습니다. '신체(身)와 환경(土)은 뗄 수 없는 것'이라는 뜻으로, 모방문화가 발달한 일본에서 만들어져 식생활 용어로 둔갑해 사용하고 있는 말입니다. 불교 용어 중 '불신국토(佛身國土)'에서 '신토'를, 사찰에 들어가는 세 문 중 '해탈의 경지에 드는 마지막 문'인 '불이문(不二門)'에서 '불이'를 따 합쳐 탄생된 말이 '신토불이'입니다.

일본에서조차 본래 뜻과는 다르게 변질돼 사용되고 있는 것을 우리 농산물을 판매하는 곳에서 버젓이 걸어놓고 자랑스레 사용하고 있다는 건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신토불이'는 마땅히 '우리 몸엔 우리 농산물' 정도로 고쳐 사용해야 하리란 생각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5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90
1170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574
1169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570
1168 장 담그셨나요? 바람의종 2008.04.14 7568
1167 무더위 바람의종 2010.07.09 7566
1166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562
1165 마냥, 모양 바람의종 2009.10.08 7562
1164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560
1163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60
1162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559
1161 드셔 보세요 바람의종 2008.03.13 7559
1160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58
1159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56
1158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553
1157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552
1156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51
1155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548
1154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47
1153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546
1152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43
1151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41
1150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538
1149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5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