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9 03:39

꼬시다

조회 수 772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꼬시다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춘풍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조선조 여류시인 황진이의 이 시조 한 수는 우리 시조문학의 백미라 할 만하다. 그녀는 유명한 만큼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이다. 글 솜씨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대담한 남성 편력을 보인 기생이었다. 10년 동안 수도에 정진해 생불이라 불리던 지족선사를 '유혹해' 파계시켰고, 당대의 대학자 서경덕을 '유혹하려' 했으나 실패한 뒤 사제관계를 맺어 서경덕 ·박연폭포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렸다.

앞에 나온 '유혹하다'를 순수한 우리말로 바꾸면 '꼬이다'나 '꾀다'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것이 '꼬시다'다.

'그는 아리따운 처녀를 꼬셔 결혼했다' '그는 학교를 빼먹고 놀러 가자고 친구를 꼬셨다' 등 '그럴듯한 말이나 행동으로 남을 속이거나 부추겨 자기 생각대로 따라오게 한다'는 뜻으로 '꼬시다'라는 말을 많이 쓴다. 그러나 이 말은 우리말 표기법에 어긋난다.

'그는 아리따운 처녀를 꼬여(꾀어) 결혼했다' '그는 학교를 빼먹고 놀러 가자고 친구를 꼬였다(꾀었다)'라고 써야 한다. '꼬시다'는 속된 말로 널리 쓰이지만 '꼬이다'나 '꾀다'의 잘못이다. 명사도 '꼬심'이 아니라 '꼬임'이나 '꾐'이다. '꼬이다(꾀다)'는 좋은 말이 아니다. 의도적으로 남을 속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남을 꼬이지도 말고, 꼬임에 빠지지도 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0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5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509
1280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528
1279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578
1278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31
127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3
127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502
1275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27
1274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14
1273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945
1272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593
1271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75
1270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194
1269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363
1268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96
126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28
1266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584
1265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07
1264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29
1263 아파, 아퍼 바람의종 2010.08.19 15316
1262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64
1261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915
1260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753
1259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