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9 03:39

꼬시다

조회 수 771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꼬시다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춘풍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조선조 여류시인 황진이의 이 시조 한 수는 우리 시조문학의 백미라 할 만하다. 그녀는 유명한 만큼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이다. 글 솜씨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대담한 남성 편력을 보인 기생이었다. 10년 동안 수도에 정진해 생불이라 불리던 지족선사를 '유혹해' 파계시켰고, 당대의 대학자 서경덕을 '유혹하려' 했으나 실패한 뒤 사제관계를 맺어 서경덕 ·박연폭포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렸다.

앞에 나온 '유혹하다'를 순수한 우리말로 바꾸면 '꼬이다'나 '꾀다'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것이 '꼬시다'다.

'그는 아리따운 처녀를 꼬셔 결혼했다' '그는 학교를 빼먹고 놀러 가자고 친구를 꼬셨다' 등 '그럴듯한 말이나 행동으로 남을 속이거나 부추겨 자기 생각대로 따라오게 한다'는 뜻으로 '꼬시다'라는 말을 많이 쓴다. 그러나 이 말은 우리말 표기법에 어긋난다.

'그는 아리따운 처녀를 꼬여(꾀어) 결혼했다' '그는 학교를 빼먹고 놀러 가자고 친구를 꼬였다(꾀었다)'라고 써야 한다. '꼬시다'는 속된 말로 널리 쓰이지만 '꼬이다'나 '꾀다'의 잘못이다. 명사도 '꼬심'이 아니라 '꼬임'이나 '꾐'이다. '꼬이다(꾀다)'는 좋은 말이 아니다. 의도적으로 남을 속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남을 꼬이지도 말고, 꼬임에 빠지지도 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6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1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45
1280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606
1279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00
1278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36
1277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42
1276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290
1275 금시에, 금세, 금새, 그새 바람의종 2010.03.13 15150
1274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71
1273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08
1272 정오(正誤) 바람의종 2010.03.13 11160
1271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36
1270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2
1269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92
1268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171
1267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13
1266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77
1265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40
1264 애끊다와 애끓다 바람의종 2010.03.15 13139
1263 쥬스는 주스 바람의종 2010.03.15 11256
1262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157
1261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54
1260 오솜소리 나갔지비 바람의종 2010.03.16 12447
1259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