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9 03:35

한참, 한창

조회 수 792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참, 한창

과거의 일은 누구에게나 아쉽긴 하지만 때때로 아름다운 생각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길 가는 처녀의 싱그러운 모습이 눈에 띌 때, 어렵겠다고 여겨지는 일을 쉽게 잘 해내는 젊은 사람들을 보았을 때 나이 지긋한 분들이 감탄조로 '한참 때여서 좋겠다'라고 표현하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한참'과 '한창'. 이 두 단어는 철자와 발음이 비슷하다 보니 혼동하기 쉽습니다. '한창'은 '일이나 현상이 가장 활기있고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시간'을 말합니다.

'한창 때여서 좋겠다' '검찰이 수사에 한창 열을 올리고 있다' '농촌 들녘에서는 가을걷이가 한창이다' 등이 그 용례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한참'은 '오랜 시간이나 시간이 꽤 지나는 동안'을 말하며 어떤 일을 하는 데 요구되거나 필요한 양적 시간의 개념입니다. '한참 쉬었다 다시 의논해 보자' '그녀는 저녁놀을 한참 바라보더니 원인 모를 눈물을 흘렸다'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참'은 그 유래도 재미있습니다. 국사시간을 기억해 보세요.

'조선시대에는 중앙의 명령을 지방에 전달하거나 관리들의 사행(使行)·운수(運輸) 등을 뒷받침하는 장소로 '역참'이란 것이 있었다.' 여기에서 역참과 역참 사이의 한 단위 거리(길이)를 뜻하는 말이 '한참'입니다. 그 '한참'을 말(馬)을 이용해 달리다 보면 시간도 걸렸을 것이고, 시계가 없던 시절엔 시간을 대용하는 말로 '한참'이 사용됐을 것이란 추론도 가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40
1390 맞히다와 맞추다 바람의종 2010.02.06 10708
1389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73
1388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58
1387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497
1386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67
1385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11
1384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272
1383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34
1382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567
1381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81
1380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38
1379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63
1378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01
1377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66
1376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6
1375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679
1374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48
1373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59
1372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066
1371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46
137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087
1369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