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9 03:35

한참, 한창

조회 수 790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참, 한창

과거의 일은 누구에게나 아쉽긴 하지만 때때로 아름다운 생각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길 가는 처녀의 싱그러운 모습이 눈에 띌 때, 어렵겠다고 여겨지는 일을 쉽게 잘 해내는 젊은 사람들을 보았을 때 나이 지긋한 분들이 감탄조로 '한참 때여서 좋겠다'라고 표현하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한참'과 '한창'. 이 두 단어는 철자와 발음이 비슷하다 보니 혼동하기 쉽습니다. '한창'은 '일이나 현상이 가장 활기있고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시간'을 말합니다.

'한창 때여서 좋겠다' '검찰이 수사에 한창 열을 올리고 있다' '농촌 들녘에서는 가을걷이가 한창이다' 등이 그 용례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한참'은 '오랜 시간이나 시간이 꽤 지나는 동안'을 말하며 어떤 일을 하는 데 요구되거나 필요한 양적 시간의 개념입니다. '한참 쉬었다 다시 의논해 보자' '그녀는 저녁놀을 한참 바라보더니 원인 모를 눈물을 흘렸다'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참'은 그 유래도 재미있습니다. 국사시간을 기억해 보세요.

'조선시대에는 중앙의 명령을 지방에 전달하거나 관리들의 사행(使行)·운수(運輸) 등을 뒷받침하는 장소로 '역참'이란 것이 있었다.' 여기에서 역참과 역참 사이의 한 단위 거리(길이)를 뜻하는 말이 '한참'입니다. 그 '한참'을 말(馬)을 이용해 달리다 보면 시간도 걸렸을 것이고, 시계가 없던 시절엔 시간을 대용하는 말로 '한참'이 사용됐을 것이란 추론도 가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94
158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199
157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276
156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638
155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433
154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412
153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070
152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190
151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075
150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0979
14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369
148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13
147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174
14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04
»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02
144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027
143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497
142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075
141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27
140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441
139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5961
138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664
13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3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