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7 03:08

깍둑이, 부스럭이

조회 수 1331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깍둑이, 부스럭이

뻐꾸기, 꾀꼬리, 개구리와 같은 이름은 그 동물의 소리 '뻐꾹, 꾀꼴, 개굴'과 관련이 있다. 또 '제트기'를 속되게 이르는 말인 '쌕쌕이'나 욕심이 많은 사람을 돼지에 비유해 이르는 말인 '꿀꿀이'도 그 물체나 동물이 내는 소리인 '쌕쌕' '꿀꿀'과 관련이 있다. 그런데 왜 어떤 것은 그것이 내는 소리에 '이'를 붙여 명사를 만들고 어떤 것은 그러지 않을까? 모두 소리와 관련된 비슷한 형태인데 왜 달리 적을까? 그것은 어근 뒤에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있는가에 따라 명사를 만드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한글맞춤법에 따르면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혀 적게 돼 있다. 즉 '꿀꿀' '오뚝' '쌕쌕' 등의 원래 형태를 살려주는 것이다(꿀꿀거리다→꿀꿀이, 눈 깜짝하다→눈깜짝이, 삐죽하다→삐죽이, 살살거리다→살살이, 쌕쌕거리다→쌕쌕이, 오뚝하다→오뚝이, 푸석하다→푸석이, 홀쭉하다→홀쭉이 등).

그러나 '-하다'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에 '-이'나 다른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붙어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개구리, 귀뚜라미, 기러기, 깍두기, 꽹과리, 날라리, 누더기, 두드러기, 딱따구리, 매미, 부스러기, 뻐꾸기, 얼루기 등). 위의 예 가운데 '깍두기''부스러기' 등은 '깍둑하다'나 '부스럭거리다'가 될 수 있지만 뜻으로 볼 때 꼭 여기에서 온 말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깍둑이' '부스럭이'로 적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19
1390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06
1389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15
1388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5997
1387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21
1386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35
1385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090
1384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33
1383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240
1382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7982
1381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677
138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32
1379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796
1378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533
1377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670
1376 첩첩산중 바람의종 2008.10.26 10904
»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14
1374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17
1373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13
137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02
1371 린치, 신나, 섬머 바람의종 2008.10.29 7142
1370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05
1369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3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