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7 03:08

깍둑이, 부스럭이

조회 수 1333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깍둑이, 부스럭이

뻐꾸기, 꾀꼬리, 개구리와 같은 이름은 그 동물의 소리 '뻐꾹, 꾀꼴, 개굴'과 관련이 있다. 또 '제트기'를 속되게 이르는 말인 '쌕쌕이'나 욕심이 많은 사람을 돼지에 비유해 이르는 말인 '꿀꿀이'도 그 물체나 동물이 내는 소리인 '쌕쌕' '꿀꿀'과 관련이 있다. 그런데 왜 어떤 것은 그것이 내는 소리에 '이'를 붙여 명사를 만들고 어떤 것은 그러지 않을까? 모두 소리와 관련된 비슷한 형태인데 왜 달리 적을까? 그것은 어근 뒤에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있는가에 따라 명사를 만드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한글맞춤법에 따르면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혀 적게 돼 있다. 즉 '꿀꿀' '오뚝' '쌕쌕' 등의 원래 형태를 살려주는 것이다(꿀꿀거리다→꿀꿀이, 눈 깜짝하다→눈깜짝이, 삐죽하다→삐죽이, 살살거리다→살살이, 쌕쌕거리다→쌕쌕이, 오뚝하다→오뚝이, 푸석하다→푸석이, 홀쭉하다→홀쭉이 등).

그러나 '-하다'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에 '-이'나 다른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붙어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개구리, 귀뚜라미, 기러기, 깍두기, 꽹과리, 날라리, 누더기, 두드러기, 딱따구리, 매미, 부스러기, 뻐꾸기, 얼루기 등). 위의 예 가운데 '깍두기''부스러기' 등은 '깍둑하다'나 '부스럭거리다'가 될 수 있지만 뜻으로 볼 때 꼭 여기에서 온 말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깍둑이' '부스럭이'로 적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26
3084 노가리 까다 바람의종 2008.02.22 13414
3083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06
3082 어미 ‘-ㄹ지’,의존명사 ‘지’ 바람의종 2010.01.27 13384
3081 초를 치다 바람의종 2010.09.05 13384
3080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378
3079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76
3078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바람의종 2010.01.28 13374
3077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372
3076 진력나다, 진력내다 바람의종 2011.12.28 13370
3075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369
3074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366
3073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361
3072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353
3071 ‘강시울’과 ‘뒤매’ 바람의종 2010.06.20 13352
3070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45
3069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33
»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32
3067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31
3066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25
3065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323
3064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319
3063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3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