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6 02:23

첩첩산중

조회 수 1094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첩첩산중

중학교 때 도시에서만 자란 여선생님이 한 분 산골에 있는 우리 학교에 오셨는데 그분이 나중에 이런 말씀을 하시더군요. '여기가 첫 부임지인데 버스를 타고 넘어도 넘어도 계속 산이 이어져, 이런 산골에서 살아야 한다는 게 무섭고 슬퍼서 눈물이 나더라'고요. 이렇게 산으로 겹겹이 둘러싸인 산골을 이르는 말이 '첩첩산중'입니다. 즉 '깊은 산속'이라는 뜻입니다. 용례를 살펴보면 '차도 다니지 않는 첩첩산중에 병원이 있을 리 없었다' '이곳은 첩첩산중인 정선 땅에서도 가장 깊은 산골이다' '계곡물 소리가 상쾌하다. 첩첩산중이라 그런지 약간 춥다는 생각이 든다'처럼 쓰입니다.

그런데 이 '첩첩산중'이란 말을 '난관이나 장애가 많다'라는 뜻으로 잘못 쓰는 경우를 가끔 볼 수 있습니다. '악재 첩첩산중, 검찰은 울고 싶어라.' 이 경우는 '깊은 산속'과는 별 상관이 없는 문맥으로, 넘어야 할 악재가 겹으로 쌓였다는 표현을 하려는 것이므로 '악재 첩첩'이라고 써야 의미가 제대로 전달됩니다. 첩첩(疊疊)은 여러 겹으로 겹쳐 있는 모양을 뜻합니다. 중중첩첩(重重疊疊)이라고도 하지요.

'적지인 데다 감정이 좋지 않은 심판까지 만났으니 한국 대표팀의 일본전은 첩첩산중이 될 것 같다'의 경우도 '첩첩산중이 될 것 같다'를 '힘든 경기가 될 것 같다' '장애가 첩첩하다' 등으로 고쳐야 합니다. '첩첩산중'에 있다면 물론 넘어야 할 산들이야 '첩첩'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깊은 산속'을 곧바로 '겹겹'의 의미로 쓸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47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42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18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48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05
1232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709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09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61
1229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770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57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552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113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172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51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3
1222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580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87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19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4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58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3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79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1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