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5 06:23

릉, 능

조회 수 880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릉, 능


인기리에 방영되던 드라마 '장희빈'이 막을 내렸다. 장희빈은 궁녀에서 왕비의 자리까지 올랐다가, 취선당 서쪽에 신당을 차려놓고 인현왕후를 저주한 일이 발각돼 결국 사약을 받은 인물이다. 혹자는 왕권 강화에 대한 숙종의 강력한 의지와 정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정략적으로 죽임을 당했다는 설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 희빈 장씨의 묘가 서오릉 후미진 곳에 있다. 서울 근방에도 '릉'이 들어간 지역이 여럿 있는데, '서오능·서삼능'등으로 돼 있는 것을 가끔 볼 수 있다.

간혹 버스 안내표지판에도 그렇게 쓰여 있지만 표기는 '서오릉' '서삼릉'이 맞다. 여기에 쓰인 '무덤 릉(陵)'자는 단어의 첫 음절에 올 때엔 두음법칙에 의해 '능원' '능묘'처럼 첫소리를 'ㄴ'으로 쓴다. 하지만 둘째 음절 다음에 올 때는 'ㄹ'을 그대로 살려 '릉'으로 표기해야 맞다. '서오릉·정릉·태릉·서삼릉'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무덤에는 능·원·묘 등이 있다. 능은 일반적으로 왕과 왕비의 무덤을 말한다.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왕세손과 왕세손비 또는 왕의 생모인 빈(嬪)과 왕의 친아버지 무덤이다. 그 외에 빈ㆍ왕자ㆍ공주ㆍ옹주 등 왕족과 일반인의 무덤은 묘(墓)라고 한다. 희빈 장씨의 무덤도 살펴보면 능이 아니라 '대빈묘'로 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누구의 무덤인지 알지 못하지만 벽화나 유물 등 특징적인 것이 있는 경우 총(塚)이라 하고, 유물이 없고 주인공도 모르면 분(墳)이라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62
1654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862
1653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62
1652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863
1651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66
1650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70
1649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73
1648 동서남북 순서 바람의종 2010.03.03 8874
1647 낱알, 낟알 / 옛, 예 바람의종 2009.02.14 8876
1646 단추를 꿰매다 바람의종 2011.12.26 8877
1645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883
1644 대합실 바람의종 2007.10.18 8886
1643 ~하므로 ~함으로 바람의종 2008.07.17 8887
1642 안갚음 風磬 2007.01.19 8890
1641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892
1640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93
1639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895
1638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896
1637 오디새 바람의종 2009.08.04 8899
1636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902
1635 축적과 누적 바람의종 2010.03.08 8903
1634 맞춤법 비켜가기 바람의종 2008.04.06 8905
1633 딛었다, 디뎠다 바람의종 2008.09.24 89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