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5 06:21

갈치, 적다, 작다

조회 수 843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갈치, 적다, 작다


'여러 가지 음식을 두루 맛보는 것도 삶의 큰 즐거움이다. 가을과 겨울이 교차되는 이맘때 시장에 가 보라. 계절의 미각을 돋우는 생선으로 기름기 가득 밴 은빛 칼치가 한창이다. 여러 종류가 있지만 우리나라 근해산이 입맛에 좋다. 적은 것보다는 큰 것이 가격은 좀 더하지만 먹을 게 많다.'

위 글에 나오는 '칼치'와 '적은 것'. 일상 생활 중에 자주 접하면서도 흔히 잘못 사용하고 있는 말이다. '크다(大)'의 반대말은 '작다(小)', '적다(少)'는 '많다(多)'의 반대말이다. '작은 꿈·작은 회사' '작은 일에도 잘 웃고 자기 감정에 솔직하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다'는 길이·넓이·부피·키·소리·도량·규모·인물 등이 보통에 미치지 못할 때 쓰는 말이다. 이와 달리 '적다'는 사물의 분량이나 수가 어느 표준보다 못함을 나타낼 때 쓴다. 즉, 많지 않다는 뜻이다. '적은 양의 가을 수확' '동원된 군중 수가 너무 적다'가 그 용례다.

우리에게 친숙한 생선인 '칼치'는 '갈치'가 바른 말이다. 강원·경남·전남·충북 등지에서 방언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칼치'는 그 모습이 칼처럼 생겼다 해서 한자로 도어(刀魚)라 불리기도 한다. '칼(刀)'의 옛말 ''에서 'ㅎ'이 탈락한 뒤 물고기나 물고기 이름을 나타내는 접미사 '치(넙치·날치·꽁치·버들치)'가 붙어 만들어진 '갈치'가 표준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15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64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02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09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30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654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34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544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487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1026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69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71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030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57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7981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250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04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803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8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66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17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297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