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5 06:21

갈치, 적다, 작다

조회 수 844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갈치, 적다, 작다


'여러 가지 음식을 두루 맛보는 것도 삶의 큰 즐거움이다. 가을과 겨울이 교차되는 이맘때 시장에 가 보라. 계절의 미각을 돋우는 생선으로 기름기 가득 밴 은빛 칼치가 한창이다. 여러 종류가 있지만 우리나라 근해산이 입맛에 좋다. 적은 것보다는 큰 것이 가격은 좀 더하지만 먹을 게 많다.'

위 글에 나오는 '칼치'와 '적은 것'. 일상 생활 중에 자주 접하면서도 흔히 잘못 사용하고 있는 말이다. '크다(大)'의 반대말은 '작다(小)', '적다(少)'는 '많다(多)'의 반대말이다. '작은 꿈·작은 회사' '작은 일에도 잘 웃고 자기 감정에 솔직하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다'는 길이·넓이·부피·키·소리·도량·규모·인물 등이 보통에 미치지 못할 때 쓰는 말이다. 이와 달리 '적다'는 사물의 분량이나 수가 어느 표준보다 못함을 나타낼 때 쓴다. 즉, 많지 않다는 뜻이다. '적은 양의 가을 수확' '동원된 군중 수가 너무 적다'가 그 용례다.

우리에게 친숙한 생선인 '칼치'는 '갈치'가 바른 말이다. 강원·경남·전남·충북 등지에서 방언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칼치'는 그 모습이 칼처럼 생겼다 해서 한자로 도어(刀魚)라 불리기도 한다. '칼(刀)'의 옛말 ''에서 'ㅎ'이 탈락한 뒤 물고기나 물고기 이름을 나타내는 접미사 '치(넙치·날치·꽁치·버들치)'가 붙어 만들어진 '갈치'가 표준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85
1896 담비 바람의종 2009.11.15 10743
1895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71
1894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16
1893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688
1892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0
1891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60
1890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70
1889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74
1888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74
1887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89
1886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599
1885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461
1884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28
1883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494
1882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348
1881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88
1880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102
1879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68
1878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01
1877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26
1876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27
1875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