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5 06:21

갈치, 적다, 작다

조회 수 842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갈치, 적다, 작다


'여러 가지 음식을 두루 맛보는 것도 삶의 큰 즐거움이다. 가을과 겨울이 교차되는 이맘때 시장에 가 보라. 계절의 미각을 돋우는 생선으로 기름기 가득 밴 은빛 칼치가 한창이다. 여러 종류가 있지만 우리나라 근해산이 입맛에 좋다. 적은 것보다는 큰 것이 가격은 좀 더하지만 먹을 게 많다.'

위 글에 나오는 '칼치'와 '적은 것'. 일상 생활 중에 자주 접하면서도 흔히 잘못 사용하고 있는 말이다. '크다(大)'의 반대말은 '작다(小)', '적다(少)'는 '많다(多)'의 반대말이다. '작은 꿈·작은 회사' '작은 일에도 잘 웃고 자기 감정에 솔직하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다'는 길이·넓이·부피·키·소리·도량·규모·인물 등이 보통에 미치지 못할 때 쓰는 말이다. 이와 달리 '적다'는 사물의 분량이나 수가 어느 표준보다 못함을 나타낼 때 쓴다. 즉, 많지 않다는 뜻이다. '적은 양의 가을 수확' '동원된 군중 수가 너무 적다'가 그 용례다.

우리에게 친숙한 생선인 '칼치'는 '갈치'가 바른 말이다. 강원·경남·전남·충북 등지에서 방언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칼치'는 그 모습이 칼처럼 생겼다 해서 한자로 도어(刀魚)라 불리기도 한다. '칼(刀)'의 옛말 ''에서 'ㅎ'이 탈락한 뒤 물고기나 물고기 이름을 나타내는 접미사 '치(넙치·날치·꽁치·버들치)'가 붙어 만들어진 '갈치'가 표준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00
1390 맞히다와 맞추다 바람의종 2010.02.06 10708
1389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2
1388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79
1387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19
1386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830
1385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52
1384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12
1383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42
1382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577
1381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88
1380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57
1379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97
1378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16
1377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72
1376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76
1375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736
1374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58
1373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68
1372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175
1371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56
137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15
1369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