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5 06:21

갈치, 적다, 작다

조회 수 850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갈치, 적다, 작다


'여러 가지 음식을 두루 맛보는 것도 삶의 큰 즐거움이다. 가을과 겨울이 교차되는 이맘때 시장에 가 보라. 계절의 미각을 돋우는 생선으로 기름기 가득 밴 은빛 칼치가 한창이다. 여러 종류가 있지만 우리나라 근해산이 입맛에 좋다. 적은 것보다는 큰 것이 가격은 좀 더하지만 먹을 게 많다.'

위 글에 나오는 '칼치'와 '적은 것'. 일상 생활 중에 자주 접하면서도 흔히 잘못 사용하고 있는 말이다. '크다(大)'의 반대말은 '작다(小)', '적다(少)'는 '많다(多)'의 반대말이다. '작은 꿈·작은 회사' '작은 일에도 잘 웃고 자기 감정에 솔직하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다'는 길이·넓이·부피·키·소리·도량·규모·인물 등이 보통에 미치지 못할 때 쓰는 말이다. 이와 달리 '적다'는 사물의 분량이나 수가 어느 표준보다 못함을 나타낼 때 쓴다. 즉, 많지 않다는 뜻이다. '적은 양의 가을 수확' '동원된 군중 수가 너무 적다'가 그 용례다.

우리에게 친숙한 생선인 '칼치'는 '갈치'가 바른 말이다. 강원·경남·전남·충북 등지에서 방언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칼치'는 그 모습이 칼처럼 생겼다 해서 한자로 도어(刀魚)라 불리기도 한다. '칼(刀)'의 옛말 ''에서 'ㅎ'이 탈락한 뒤 물고기나 물고기 이름을 나타내는 접미사 '치(넙치·날치·꽁치·버들치)'가 붙어 만들어진 '갈치'가 표준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498
1390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23
1389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55
1388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43
1387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68
1386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84
1385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121
1384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69
1383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35
1382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37
1381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718
»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501
1379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831
1378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663
1377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707
1376 첩첩산중 바람의종 2008.10.26 10948
1375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70
1374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65
1373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28
137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17
1371 린치, 신나, 섬머 바람의종 2008.10.29 7173
1370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47
1369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