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4 00:33

쪽집게, 짜깁기

조회 수 802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쪽집게, 짜깁기


얼마 전에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에게 '수고했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하지만 아직 대학에 따라선 논술고사가 남아 있고 심층 면접도 치러야 한다. 논술고사 출제 예상 문제들을 기가 막힐 정도로 콕 집어내 잘 설명해 주는 '쪽집게 논술 과외 강사'들의 과외비는 아마 부르는 게 값일 것이다. 이렇게 '어떤 사실을 정확하게 지적해 내거나 잘 알아맞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가리켜 많은 사람이 '쪽집게' '쪽집개'라고 쓴다.

된소리로 발음하는 언어습관에 이끌려 이렇게 쓰는 것 같은데 표준어는 '족집게'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일부 말은 된소리로 발음해야 말의 맛이 살아나는 경우가 있다. 소주를 '쏘주'로, 강술은 '깡술'로, 자장면은 '짜장면'으로, 강소주도 '깡소주'라고 해야 맛이 나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소주''강술''자장면''강소주'가 표준어임은 두말 할 것 없다.

또 자주 틀리는 것으로 '짜집기'가 있다. '짜집기를 특히 잘 하는 세탁소나 옷 수선집을 알면 좀 얘기해 줄래?'에서처럼 '짜집기'가 바른말인 줄 아는 사람이 많다. '직물의 찢어진 곳을 본디대로 흠집 없이 잘 짜서 깁는 일'은 '짜집기'가 아니라 '짜깁기'가 표준어다. 여기서 '집다'는 '깁다'의 강원·경상·충청도 방언이다. '짜다+깁다'에서 온 말이므로 '짜깁기'가 바른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11
1390 (밤)참 風磬 2006.11.30 6416
1389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659
1388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606
1387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42
1386 무꾸리 風磬 2006.11.26 8150
1385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60
1384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205
1383 매무시 風磬 2006.11.26 8014
1382 망나니 風磬 2006.11.26 7987
1381 마누라 風磬 2006.11.26 8400
1380 (뒷)바라지 風磬 2006.11.16 7165
1379 뒤웅스럽다 風磬 2006.11.16 7587
1378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866
1377 되바라지다 風磬 2006.11.16 14436
1376 돌팔이 風磬 2006.11.16 8123
1375 風磬 2006.11.06 6911
1374 도무지 風磬 2006.11.06 10244
1373 댕기풀이 風磬 2006.11.06 13195
1372 대충 風磬 2006.11.06 8637
1371 대수롭다 風磬 2006.11.06 12680
1370 단출하다 風磬 2006.11.06 7846
1369 단골집 風磬 2006.11.06 85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