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4 00:33

쪽집게, 짜깁기

조회 수 802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쪽집게, 짜깁기


얼마 전에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에게 '수고했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하지만 아직 대학에 따라선 논술고사가 남아 있고 심층 면접도 치러야 한다. 논술고사 출제 예상 문제들을 기가 막힐 정도로 콕 집어내 잘 설명해 주는 '쪽집게 논술 과외 강사'들의 과외비는 아마 부르는 게 값일 것이다. 이렇게 '어떤 사실을 정확하게 지적해 내거나 잘 알아맞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가리켜 많은 사람이 '쪽집게' '쪽집개'라고 쓴다.

된소리로 발음하는 언어습관에 이끌려 이렇게 쓰는 것 같은데 표준어는 '족집게'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일부 말은 된소리로 발음해야 말의 맛이 살아나는 경우가 있다. 소주를 '쏘주'로, 강술은 '깡술'로, 자장면은 '짜장면'으로, 강소주도 '깡소주'라고 해야 맛이 나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소주''강술''자장면''강소주'가 표준어임은 두말 할 것 없다.

또 자주 틀리는 것으로 '짜집기'가 있다. '짜집기를 특히 잘 하는 세탁소나 옷 수선집을 알면 좀 얘기해 줄래?'에서처럼 '짜집기'가 바른말인 줄 아는 사람이 많다. '직물의 찢어진 곳을 본디대로 흠집 없이 잘 짜서 깁는 일'은 '짜집기'가 아니라 '짜깁기'가 표준어다. 여기서 '집다'는 '깁다'의 강원·경상·충청도 방언이다. '짜다+깁다'에서 온 말이므로 '짜깁기'가 바른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56
1390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23
1389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50
1388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43
1387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68
1386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84
1385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118
1384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69
1383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33
»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28
1381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718
138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500
1379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831
1378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656
1377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701
1376 첩첩산중 바람의종 2008.10.26 10947
1375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65
1374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65
1373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28
137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06
1371 린치, 신나, 섬머 바람의종 2008.10.29 7173
1370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42
1369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