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4 00:33

쪽집게, 짜깁기

조회 수 798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쪽집게, 짜깁기


얼마 전에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에게 '수고했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하지만 아직 대학에 따라선 논술고사가 남아 있고 심층 면접도 치러야 한다. 논술고사 출제 예상 문제들을 기가 막힐 정도로 콕 집어내 잘 설명해 주는 '쪽집게 논술 과외 강사'들의 과외비는 아마 부르는 게 값일 것이다. 이렇게 '어떤 사실을 정확하게 지적해 내거나 잘 알아맞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가리켜 많은 사람이 '쪽집게' '쪽집개'라고 쓴다.

된소리로 발음하는 언어습관에 이끌려 이렇게 쓰는 것 같은데 표준어는 '족집게'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일부 말은 된소리로 발음해야 말의 맛이 살아나는 경우가 있다. 소주를 '쏘주'로, 강술은 '깡술'로, 자장면은 '짜장면'으로, 강소주도 '깡소주'라고 해야 맛이 나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소주''강술''자장면''강소주'가 표준어임은 두말 할 것 없다.

또 자주 틀리는 것으로 '짜집기'가 있다. '짜집기를 특히 잘 하는 세탁소나 옷 수선집을 알면 좀 얘기해 줄래?'에서처럼 '짜집기'가 바른말인 줄 아는 사람이 많다. '직물의 찢어진 곳을 본디대로 흠집 없이 잘 짜서 깁는 일'은 '짜집기'가 아니라 '짜깁기'가 표준어다. 여기서 '집다'는 '깁다'의 강원·경상·충청도 방언이다. '짜다+깁다'에서 온 말이므로 '짜깁기'가 바른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96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23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277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864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383
1232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20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86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35
1229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685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08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477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6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097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678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14
1222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417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38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781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270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19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44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11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9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