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4 00:29

곁불, 겻불

조회 수 825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곁불, 겻불

'모닥불 피워 놓고/마주 앉아서/우리들의 이야기는/끝이 없어라/인생은 연기 속에/재를 남기고/말없이 사라지는/모닥불 같은 것…' 인생에 대한 상념과 예감을 노래한 박인희의 '모닥불'중 일부다. '모닥불'처럼 만추(晩秋)의 서정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곁불'이 있다. 춥다 싶으면 장터 등에서 몇명이 모여 나눠 쬐는, 정감 있는 불이다. '무사는 얼어죽더라도 곁불을 쬐지 않는다'처럼 쓰이는 '곁불'을 '겻불'과 혼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곁불'이 바른 표현이다.

'겻불'은 벼·보리·조 따위를 찧고 난 껍질을 태울 때 나오는 미미한 불기운이다. '군중의 서슬이 겻불 사그라지듯 누그러졌다'에서 볼 수 있다. '곁불'의 '곁'과 뜻이 비슷한 단어로 '옆'이 있다. 그 쓰임새의 차이도 재밌다. '옆'은 사물의 오른쪽이나 왼쪽의 면 또는 그 근처를 말한다. 상대방은 생각도 없는데 요구하고 알려줌으로써 대접을 받는다는 뜻의 '옆 찔러 절 받기'와 '옆으로 눕다·옆을 살피다' 등이 있다.

이와 달리 '곁'은 '옆'보다 넓은 의미로 대상을 중심으로 한 근방이나 가까운 주변 모두를 나타낸다. '환자 곁을 지키다' '아이는 엄마 곁에 바짝 다가앉았다'등이 그 용례며, 다른 사람에게 가까이 할 수 있도록 속을 터준다는 뜻의 '곁을 주다', '전쟁 통에 단신 월남한 그에겐 가까운 곁이 없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심리적으로 같이 할 수 있는 대상을 지칭할 때도 '곁'이 사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81
1896 담비 바람의종 2009.11.15 10743
1895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71
1894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16
1893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688
1892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0
1891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60
1890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70
1889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74
1888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74
1887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89
1886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599
1885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461
1884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28
1883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494
1882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348
1881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88
1880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102
1879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68
1878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01
1877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26
1876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27
1875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