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4 00:29

곁불, 겻불

조회 수 824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곁불, 겻불

'모닥불 피워 놓고/마주 앉아서/우리들의 이야기는/끝이 없어라/인생은 연기 속에/재를 남기고/말없이 사라지는/모닥불 같은 것…' 인생에 대한 상념과 예감을 노래한 박인희의 '모닥불'중 일부다. '모닥불'처럼 만추(晩秋)의 서정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곁불'이 있다. 춥다 싶으면 장터 등에서 몇명이 모여 나눠 쬐는, 정감 있는 불이다. '무사는 얼어죽더라도 곁불을 쬐지 않는다'처럼 쓰이는 '곁불'을 '겻불'과 혼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곁불'이 바른 표현이다.

'겻불'은 벼·보리·조 따위를 찧고 난 껍질을 태울 때 나오는 미미한 불기운이다. '군중의 서슬이 겻불 사그라지듯 누그러졌다'에서 볼 수 있다. '곁불'의 '곁'과 뜻이 비슷한 단어로 '옆'이 있다. 그 쓰임새의 차이도 재밌다. '옆'은 사물의 오른쪽이나 왼쪽의 면 또는 그 근처를 말한다. 상대방은 생각도 없는데 요구하고 알려줌으로써 대접을 받는다는 뜻의 '옆 찔러 절 받기'와 '옆으로 눕다·옆을 살피다' 등이 있다.

이와 달리 '곁'은 '옆'보다 넓은 의미로 대상을 중심으로 한 근방이나 가까운 주변 모두를 나타낸다. '환자 곁을 지키다' '아이는 엄마 곁에 바짝 다가앉았다'등이 그 용례며, 다른 사람에게 가까이 할 수 있도록 속을 터준다는 뜻의 '곁을 주다', '전쟁 통에 단신 월남한 그에겐 가까운 곁이 없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심리적으로 같이 할 수 있는 대상을 지칭할 때도 '곁'이 사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53
1918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58
1917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58
1916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63
1915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65
1914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68
1913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271
1912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72
1911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73
1910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276
1909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279
1908 당신은 누구시길래 바람의종 2008.09.24 8280
1907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80
1906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82
1905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284
1904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84
1903 떡해먹을 집안이다 바람의종 2008.01.04 8284
1902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288
1901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289
1900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292
1899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02
1898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304
1897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