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3 01:13

띄어쓰기 - "만"

조회 수 763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띄어쓰기 - "만"

우리 언어생활에서 자주 보이는 '만'이란 글자는 띄어쓰기와 관련해 아주 다양한 모습을 한다. 앞말에 붙기도 하고, 조사나 접미사와 함께 독립적으로 쓰이기도 하며, '하다' 앞에 붙기도 한다. 쓰임에 따라 품사가 달라지기 때문에 띄어쓰기도 달라지는 것이다. 그 쓰임을 살펴보자.

'만'이 어떤 대상을 한정(공부만 하다)하거나, 다른 대상과 비교(집채만 한 호랑이)하는 뜻을 가질 경우에는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써야 한다. 그러나 주로 '만에, 만이다, 만이야' 꼴로 쓰여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거나(친구가 도착한 지 두 시간 만에 떠났다), 앞말이 뜻하는 동작이나 행동에 타당한 이유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그가 화를 낼 만도 하다), 또는 앞말이 뜻하는 동작이나 행동이 가능함을 나타낼 때(그가 그러는 것도 이해할 만은 하다)는 의존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동사 뒤에서 관형사형 어미 '-(으)ㄹ'뒤에 쓰여 어떤 대상이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할 타당한 이유를 가질 정도로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이 음식은 정말 먹을 만하다), 또는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는 것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경우(내겐 그를 저지할 만한 힘이 없다)는 '만하다'라는 보조용언이 되므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하고 있다.

참고로 '오래간만'이나 그 준말인 '오랜만'은 명사로 한 단어(오랜만에 고향 사람을 만났다)이므로 붙여 쓴다. '만'이 '마는'의 준말로 쓰일 경우(먹고는 싶다만 돈이 없다)도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1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96
1280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525
1279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578
1278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31
127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3
127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493
1275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27
1274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14
1273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933
1272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593
1271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69
1270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178
1269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356
1268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92
126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27
1266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579
1265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399
1264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25
1263 아파, 아퍼 바람의종 2010.08.19 15313
1262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62
1261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915
1260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746
1259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