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3 01:13

띄어쓰기 - "만"

조회 수 767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띄어쓰기 - "만"

우리 언어생활에서 자주 보이는 '만'이란 글자는 띄어쓰기와 관련해 아주 다양한 모습을 한다. 앞말에 붙기도 하고, 조사나 접미사와 함께 독립적으로 쓰이기도 하며, '하다' 앞에 붙기도 한다. 쓰임에 따라 품사가 달라지기 때문에 띄어쓰기도 달라지는 것이다. 그 쓰임을 살펴보자.

'만'이 어떤 대상을 한정(공부만 하다)하거나, 다른 대상과 비교(집채만 한 호랑이)하는 뜻을 가질 경우에는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써야 한다. 그러나 주로 '만에, 만이다, 만이야' 꼴로 쓰여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거나(친구가 도착한 지 두 시간 만에 떠났다), 앞말이 뜻하는 동작이나 행동에 타당한 이유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그가 화를 낼 만도 하다), 또는 앞말이 뜻하는 동작이나 행동이 가능함을 나타낼 때(그가 그러는 것도 이해할 만은 하다)는 의존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동사 뒤에서 관형사형 어미 '-(으)ㄹ'뒤에 쓰여 어떤 대상이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할 타당한 이유를 가질 정도로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이 음식은 정말 먹을 만하다), 또는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는 것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경우(내겐 그를 저지할 만한 힘이 없다)는 '만하다'라는 보조용언이 되므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하고 있다.

참고로 '오래간만'이나 그 준말인 '오랜만'은 명사로 한 단어(오랜만에 고향 사람을 만났다)이므로 붙여 쓴다. '만'이 '마는'의 준말로 쓰일 경우(먹고는 싶다만 돈이 없다)도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0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5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491
1390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28
1389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9
1388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9
1387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31
1386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42
1385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43
1384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44
1383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49
1382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51
138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2
1380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52
1379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3
1378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554
1377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58
1376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1375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69
1374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0
1373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2
1372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85
1371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89
1370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92
1369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5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