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3 01:07

안성마춤

조회 수 606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성마춤

안성은 예부터 놋그릇(鍮器·유기)으로 유명하다. 이 놋그릇을 주문자의 마음에 꼭 들게 잘 만들어 '안성맞춤'이란 말이 생겼다고 한다. 원래는 '안성마춤'이었으나 1989년 맞춤법이 개정되면서 '안성맞춤'으로 바뀌었다.

'마추다'(주문하다), '맞추다'(맞게 하다)를 '맞추다'로 통일함으로써 '안성마춤'도 '안성맞춤'이 됐다. 그러나 안성에서 '안성맞춤'을 '안성마춤'으로 쓰는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며칠 전에는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안성마춤'쇠고기가 축산물 브랜드 경진대회에서 대상에 올랐다고 '안성마춤'이란 글자가 큼지막하게 신문에 실렸다. 안성의 특산물인 포도·배·인삼·쌀에도 '안성마춤'이란 상표가 붙어 있다. 이 같은 일은 안성시가 안성의 5대 특산물을 '안성마춤'이란 상표로 등록해 사용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안성맞춤'이 일반명사여서 등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혹 표기법과 달라야 인지도가 올라간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 폐해는 엄청나다. 모메존(몸에 좋은)·누네띠네(눈에 띄네)·으뜨미야(으뜸이야) 등 우리말 상표가 그렇고, 푸르덴셜(프루덴셜)·썬마이크로시스템즈(선마이크로시스템스) 등 외래어 상호도 마찬가지다. 잘못된 표기를 상표나 상호에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치의 마련이 시급하다. 굳이 우리말 파괴를 얘기할 것도 없다. 우리 아이들이 '안성마춤'이라는 상표를 보고 '안성맞춤'에 대한 시험 문제를 틀리는 경우를 생각해 보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24
1390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49
1389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49
1388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552
1387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552
1386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552
1385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52
1384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4
138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7
1382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57
1381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59
1380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560
1379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1378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5
1377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6
1376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76
1375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589
137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590
1373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91
1372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1371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95
1370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602
1369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6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