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3 01:07

안성마춤

조회 수 601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성마춤

안성은 예부터 놋그릇(鍮器·유기)으로 유명하다. 이 놋그릇을 주문자의 마음에 꼭 들게 잘 만들어 '안성맞춤'이란 말이 생겼다고 한다. 원래는 '안성마춤'이었으나 1989년 맞춤법이 개정되면서 '안성맞춤'으로 바뀌었다.

'마추다'(주문하다), '맞추다'(맞게 하다)를 '맞추다'로 통일함으로써 '안성마춤'도 '안성맞춤'이 됐다. 그러나 안성에서 '안성맞춤'을 '안성마춤'으로 쓰는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며칠 전에는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안성마춤'쇠고기가 축산물 브랜드 경진대회에서 대상에 올랐다고 '안성마춤'이란 글자가 큼지막하게 신문에 실렸다. 안성의 특산물인 포도·배·인삼·쌀에도 '안성마춤'이란 상표가 붙어 있다. 이 같은 일은 안성시가 안성의 5대 특산물을 '안성마춤'이란 상표로 등록해 사용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안성맞춤'이 일반명사여서 등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혹 표기법과 달라야 인지도가 올라간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 폐해는 엄청나다. 모메존(몸에 좋은)·누네띠네(눈에 띄네)·으뜨미야(으뜸이야) 등 우리말 상표가 그렇고, 푸르덴셜(프루덴셜)·썬마이크로시스템즈(선마이크로시스템스) 등 외래어 상호도 마찬가지다. 잘못된 표기를 상표나 상호에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치의 마련이 시급하다. 굳이 우리말 파괴를 얘기할 것도 없다. 우리 아이들이 '안성마춤'이라는 상표를 보고 '안성맞춤'에 대한 시험 문제를 틀리는 경우를 생각해 보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5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1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044
2072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43
2071 신장이 좋다? 바람의종 2011.01.30 11307
2070 신병, 신변 바람의종 2010.07.18 10916
2069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50
2068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42
2067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490
2066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69
2065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46
2064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83
2063 시험, 실험 바람의종 2010.08.14 10839
2062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43
2061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471
2060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696
2059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54
2058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12
2057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85
2056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7
2055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478
2054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71
2053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62
2052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00
2051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