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2 18:46

님, 임

조회 수 555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님, 임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만해 한용운의 시 '님의 침묵'에 나오는 구절이다. 여기에서 '님'은 사랑하는 연인, 친구, 부처일 수도 있고 조국이나 민족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배웠다. 그런데 현행 맞춤법에선 위글처럼 '사모하는 사람'을 뜻할 때는'님'이 아니라 '임'을 쓰도록 돼 있다.

그러면 '님'은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 '홍길동 님' '길동 님'처럼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를 때는 '님'으로 표기하는 게 맞다. 이때의 '님'은 의존명사로 '홍길동 씨'의 '씨'보다 높임의 뜻을 나타낸다. '해님·달님·나라님' 등에서 쓰인 '님'은 '홍길동 님'의 '님'과는 약간 다르다. '해님·달님·나라님'에서는 명사 '해·달·나라'에 높임을 나타내는 접미사 '-님'이 붙은 것이다. 따라서 '해님' '달님' '나라님'은 합성어가 아니며 합성어일 경우에 받쳐 적을 수 있는 사이시옷도 붙일 수 없다. 그러므로 '햇님' '나랏님'으로 표기해선 안 된다. '햇빛''햇볕' 등은 '해'라는 낱말에 또 다른 낱말인 '빛, 볕'이 합쳐진 합성어다. 또한 뒷말인 '빛, 볕'이 [해] [해] 등 된소리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첨가해 '햇빛''햇볕'으로 적는다.

문학작품에서 '사모하는 사람'을 표현할 때 '님'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바른 표기는 '임'이라는 걸 꼭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82
1390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23
»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50
1388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43
1387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68
1386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84
1385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118
1384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69
1383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33
1382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23
1381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717
138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489
1379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831
1378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651
1377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701
1376 첩첩산중 바람의종 2008.10.26 10942
1375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65
1374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65
1373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28
137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06
1371 린치, 신나, 섬머 바람의종 2008.10.29 7173
1370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42
1369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