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2 18:46

님, 임

조회 수 556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님, 임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만해 한용운의 시 '님의 침묵'에 나오는 구절이다. 여기에서 '님'은 사랑하는 연인, 친구, 부처일 수도 있고 조국이나 민족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배웠다. 그런데 현행 맞춤법에선 위글처럼 '사모하는 사람'을 뜻할 때는'님'이 아니라 '임'을 쓰도록 돼 있다.

그러면 '님'은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 '홍길동 님' '길동 님'처럼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를 때는 '님'으로 표기하는 게 맞다. 이때의 '님'은 의존명사로 '홍길동 씨'의 '씨'보다 높임의 뜻을 나타낸다. '해님·달님·나라님' 등에서 쓰인 '님'은 '홍길동 님'의 '님'과는 약간 다르다. '해님·달님·나라님'에서는 명사 '해·달·나라'에 높임을 나타내는 접미사 '-님'이 붙은 것이다. 따라서 '해님' '달님' '나라님'은 합성어가 아니며 합성어일 경우에 받쳐 적을 수 있는 사이시옷도 붙일 수 없다. 그러므로 '햇님' '나랏님'으로 표기해선 안 된다. '햇빛''햇볕' 등은 '해'라는 낱말에 또 다른 낱말인 '빛, 볕'이 합쳐진 합성어다. 또한 뒷말인 '빛, 볕'이 [해] [해] 등 된소리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첨가해 '햇빛''햇볕'으로 적는다.

문학작품에서 '사모하는 사람'을 표현할 때 '님'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바른 표기는 '임'이라는 걸 꼭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90
1390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546
1389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48
1388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49
1387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49
1386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551
1385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552
1384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52
1383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3
1382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7
1381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57
1380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59
1379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1378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71
1377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5
1376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576
1375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6
137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584
1373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89
1372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1371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95
1370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602
1369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6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