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2 18:46

님, 임

조회 수 556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님, 임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만해 한용운의 시 '님의 침묵'에 나오는 구절이다. 여기에서 '님'은 사랑하는 연인, 친구, 부처일 수도 있고 조국이나 민족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배웠다. 그런데 현행 맞춤법에선 위글처럼 '사모하는 사람'을 뜻할 때는'님'이 아니라 '임'을 쓰도록 돼 있다.

그러면 '님'은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 '홍길동 님' '길동 님'처럼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를 때는 '님'으로 표기하는 게 맞다. 이때의 '님'은 의존명사로 '홍길동 씨'의 '씨'보다 높임의 뜻을 나타낸다. '해님·달님·나라님' 등에서 쓰인 '님'은 '홍길동 님'의 '님'과는 약간 다르다. '해님·달님·나라님'에서는 명사 '해·달·나라'에 높임을 나타내는 접미사 '-님'이 붙은 것이다. 따라서 '해님' '달님' '나라님'은 합성어가 아니며 합성어일 경우에 받쳐 적을 수 있는 사이시옷도 붙일 수 없다. 그러므로 '햇님' '나랏님'으로 표기해선 안 된다. '햇빛''햇볕' 등은 '해'라는 낱말에 또 다른 낱말인 '빛, 볕'이 합쳐진 합성어다. 또한 뒷말인 '빛, 볕'이 [해] [해] 등 된소리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첨가해 '햇빛''햇볕'으로 적는다.

문학작품에서 '사모하는 사람'을 표현할 때 '님'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바른 표기는 '임'이라는 걸 꼭 알아두자.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1816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8488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3283
    read more
  4. 덮혔다, 찝찝하다

    Date2008.10.31 By바람의종 Views12169
    Read More
  5. 끼여들기

    Date2008.10.31 By바람의종 Views9083
    Read More
  6. 갈갈이, 갈가리

    Date2008.10.30 By바람의종 Views7537
    Read More
  7. 유명세를 타다

    Date2008.10.30 By바람의종 Views7309
    Read More
  8. 신토불이

    Date2008.10.30 By바람의종 Views7442
    Read More
  9. 꼬시다

    Date2008.10.29 By바람의종 Views7755
    Read More
  10. 린치, 신나, 섬머

    Date2008.10.29 By바람의종 Views7188
    Read More
  11. 한참, 한창

    Date2008.10.29 By바람의종 Views8076
    Read More
  12. 영어식 표현

    Date2008.10.27 By바람의종 Views6935
    Read More
  13.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Date2008.10.27 By바람의종 Views7885
    Read More
  14. 깍둑이, 부스럭이

    Date2008.10.27 By바람의종 Views13376
    Read More
  15. 첩첩산중

    Date2008.10.26 By바람의종 Views10963
    Read More
  16. 더 이상

    Date2008.10.26 By바람의종 Views5718
    Read More
  17. ~부터 시작

    Date2008.10.26 By바람의종 Views6704
    Read More
  18. 릉, 능

    Date2008.10.25 By바람의종 Views8836
    Read More
  19. 갈치, 적다, 작다

    Date2008.10.25 By바람의종 Views8529
    Read More
  20. 주은, 구은, 책갈피

    Date2008.10.25 By바람의종 Views8728
    Read More
  21. 쪽집게, 짜깁기

    Date2008.10.24 By바람의종 Views8054
    Read More
  22.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Date2008.10.24 By바람의종 Views21367
    Read More
  23. 곁불, 겻불

    Date2008.10.24 By바람의종 Views8284
    Read More
  24. 띄어스기 - "데"

    Date2008.10.23 By바람의종 Views11136
    Read More
  25. 띄어스기 - "지"

    Date2008.10.23 By바람의종 Views1039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