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2 18:46

님, 임

조회 수 551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님, 임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만해 한용운의 시 '님의 침묵'에 나오는 구절이다. 여기에서 '님'은 사랑하는 연인, 친구, 부처일 수도 있고 조국이나 민족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배웠다. 그런데 현행 맞춤법에선 위글처럼 '사모하는 사람'을 뜻할 때는'님'이 아니라 '임'을 쓰도록 돼 있다.

그러면 '님'은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 '홍길동 님' '길동 님'처럼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를 때는 '님'으로 표기하는 게 맞다. 이때의 '님'은 의존명사로 '홍길동 씨'의 '씨'보다 높임의 뜻을 나타낸다. '해님·달님·나라님' 등에서 쓰인 '님'은 '홍길동 님'의 '님'과는 약간 다르다. '해님·달님·나라님'에서는 명사 '해·달·나라'에 높임을 나타내는 접미사 '-님'이 붙은 것이다. 따라서 '해님' '달님' '나라님'은 합성어가 아니며 합성어일 경우에 받쳐 적을 수 있는 사이시옷도 붙일 수 없다. 그러므로 '햇님' '나랏님'으로 표기해선 안 된다. '햇빛''햇볕' 등은 '해'라는 낱말에 또 다른 낱말인 '빛, 볕'이 합쳐진 합성어다. 또한 뒷말인 '빛, 볕'이 [해] [해] 등 된소리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첨가해 '햇빛''햇볕'으로 적는다.

문학작품에서 '사모하는 사람'을 표현할 때 '님'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바른 표기는 '임'이라는 걸 꼭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3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34
1214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33
1213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18
1212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090
1211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39
1210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23
1209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5997
1208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2
»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18
1206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06
1205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785
1204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005
1203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60
1202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0
1201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18
1200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27
1199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91
1198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11
1197 빌어, 빌려 바람의종 2008.10.14 11016
1196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470
1195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1194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46
1193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99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