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2 18:46

님, 임

조회 수 556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님, 임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만해 한용운의 시 '님의 침묵'에 나오는 구절이다. 여기에서 '님'은 사랑하는 연인, 친구, 부처일 수도 있고 조국이나 민족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배웠다. 그런데 현행 맞춤법에선 위글처럼 '사모하는 사람'을 뜻할 때는'님'이 아니라 '임'을 쓰도록 돼 있다.

그러면 '님'은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 '홍길동 님' '길동 님'처럼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를 때는 '님'으로 표기하는 게 맞다. 이때의 '님'은 의존명사로 '홍길동 씨'의 '씨'보다 높임의 뜻을 나타낸다. '해님·달님·나라님' 등에서 쓰인 '님'은 '홍길동 님'의 '님'과는 약간 다르다. '해님·달님·나라님'에서는 명사 '해·달·나라'에 높임을 나타내는 접미사 '-님'이 붙은 것이다. 따라서 '해님' '달님' '나라님'은 합성어가 아니며 합성어일 경우에 받쳐 적을 수 있는 사이시옷도 붙일 수 없다. 그러므로 '햇님' '나랏님'으로 표기해선 안 된다. '햇빛''햇볕' 등은 '해'라는 낱말에 또 다른 낱말인 '빛, 볕'이 합쳐진 합성어다. 또한 뒷말인 '빛, 볕'이 [해] [해] 등 된소리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첨가해 '햇빛''햇볕'으로 적는다.

문학작품에서 '사모하는 사람'을 표현할 때 '님'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바른 표기는 '임'이라는 걸 꼭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12
1236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305
1235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38
1234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716
1233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51
1232 린치, 신나, 섬머 바람의종 2008.10.29 7180
1231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59
1230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91
1229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33
1228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77
1227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71
1226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949
1225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88
1224 첩첩산중 바람의종 2008.10.26 10957
1223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715
1222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683
1221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16
1220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836
1219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515
1218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728
1217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83
1216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49
1215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