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2 18:44

낯설음, 거칠음

조회 수 992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낯설음, 거칠음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그래서 맞는 것이라고 착각하기 쉬운 단어들이 있습니다. '불원간에 닥쳐올 앞날의 낯설음에 대한 두려움.' '노지심의 거칠음은 성급한 성질이 빚어내는 것이다.' '눈 주위 피부의 거칠음을 방지해 줍니다.'

위 예문에 등장하는 '낯설음' 과 '거칠음'은 낯설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것은 잘못 쓴 것입니다. 이 단어들은 '낯섦'과 '거칢'으로 써야 합니다. 이들은 형용사인 '낯설다'와 '거칠다'를 명사 구실을 하게 만든 것인데 이와 같은 것을 명사형이라고 합니다. 받침 없는 말이나 ㄹ 받침을 가진 말 다음에는 '음'이 아니라 'ㅁ'을 붙여서 명사형을 만듭니다. '엄벌에 처함이 옳다'에서 '처하다'의 어간 '처하-'는 받침 없이 끝나므로 명사형은 'ㅁ'을 붙여 '처함'이 됩니다.

'낯설다'와 '거칠다'의 경우는 어간이 ㄹ 받침으로 끝나기 때문에 '낯설음' '거칠음'이 아니라 '낯섦' '거칢'으로 써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줄다'의 명사형은 '줆'이 됩니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어간 다음에는 '음'을 붙여 명사형을 만듭니다. 예를 들면 '재산의 많음과 적음에 따라 사람을 차별해서는 안 된다'의 '많음' '적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그 밖에 '기'를 붙여서 명사형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가 오기 전에 빨리 가야겠다' '이 창문은 열기가 어렵다' '신용이 없으면 돈을 빌리기가 쉽지 않다'의 '오기' '열기' '빌리기' 같은 경우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7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3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231
1214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66
1213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47
1212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113
1211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84
1210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60
1209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43
1208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9
1207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39
»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23
1205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811
1204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29
1203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74
1202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59
1201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50
1200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58
1199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42
1198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39
1197 빌어, 빌려 바람의종 2008.10.14 11047
1196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501
1195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42
1194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77
1193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100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