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7 18:27

갯벌, 개펄

조회 수 834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갯벌, 개펄

물빛과 하늘색이 짙어지니 철새들도 바쁘다. 황혼을 틈타 길 떠나는 나그네들이 잠시 머무르며 이별의 군무를 펼치는 곳이 있다. 물 빠진 바닷가다. 이런 곳을 '갯벌'과 '개펄' 중 어느 것으로 표현해야 하는지 궁금증이 일 때가 있다. '개펄'은 갯가의 거무스름하고 미끈한 '흙'을 말하고, '갯벌'은 바다에 접한 넓고 평평한 '땅'을 말한다고 얘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원을 따져보면 '개펄'과 '갯벌'의 첫 글자 '개'는 강이나 내에 바닷물이 드나드는 곳, 즉 강 맨 아래쪽인 하구(河口)와 바다가 만나는 곳을 말한다. '벌'은 넓은 벌판, '펄'은 '벌'이 거센말화한 것이다. 이처럼 어원만으로 본다면 갯벌과 개펄은 다른 점이 거의 없는 셈이다.

그러나 사전을 찾아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개펄'은 '갯가의 개흙이 깔린 벌판'이다. 물이 빠지고 난 뒤 바다에 드러나는 미끈미끈하고 질척거리며 검은 빛이 나는 곳으로 간조와 만조의 차가 큰 곳에 발달한다. 이 때문에 동해안보다 서해안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여름이면 고운 개흙을 이용해 피부 미용을 위한 갖가지 진흙 마사지 행사가 벌어지기도 한다. '갯벌'은 '바닷물이 드나드는 모래사장 또는 그 주변의 넓은 땅'으로 개흙이 깔린 부분 외에 바다와 접한, 모래가 깔린 부분까지 포함하는 말이다. 따라서 개펄보다 의미가 더 넓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5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92
1588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63
1587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461
1586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456
1585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455
1584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455
1583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53
1582 누리마루, 나래마루. 바람의종 2009.11.15 8453
158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453
158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52
1579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49
1578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39
1577 률과 율 바람의종 2008.04.16 8439
1576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434
1575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434
1574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32
1573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28
1572 방송 용어 바람의종 2010.03.05 8420
1571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17
1570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16
1569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416
1568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12
1567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4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