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94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청계천을 복원하는 대형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광교가 45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광교뿐 아니라 수표교 등 다른 다리들도 원래 모습으로 복원된다고 하니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 같은 공사 현장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게 '굴착기(포클레인)'다. 땅을 파는 기계인 굴착기를 흔히 '굴삭기'로 부르는데 이는 일본의 '대용한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바른 표기가 아니다. 일본인들은 한자 획수가 많으면 '상용한자'에서 발음이 같은 것을 찾아 뜻이 좀 다르더라도 획수가 적은 글자를 대용한다. 이를테면 나이를 말할 때 '20歲'를 '20才'로 쓴다. 일본어에선 세(歲)와 재(才)가 [사이]로 똑같이 발음되기 때문이다.

굴착기(掘鑿機)의 '鑿'과 굴삭기(掘削機)의 '削'도 [사쿠]로 발음이 같다. 그래서 복잡한 '鑿' 대신 '削'을 끌어와 '굴삭기'로 쓰는 것이다. 여기서 착(鑿)은 '삽으로 판다'는 뜻이고, 삭(削)은 '칼로 깎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공사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또 다른 단어로 '레미콘'이 있다. 레미콘은 굳지 않은 상태로 뒤섞으며 현장으로 배달하는 콘크리트 또는 그런 시설을 한 차를 말한다. 영어로 'ready-mixed-concrete'라 하는데, 이것을 일본인들이 줄여 만든 조어가 '레미콘'이다. 우리말로는 '회반죽, 양회 반죽' 또는 '회 반죽 차, 양회 반죽 차'로 순화해 쓸 수 있다.

환경이든 우리말이든 한번 훼손된 것을 되돌리는 데는 엄청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04
1434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63
1433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371
1432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373
1431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73
1430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376
1429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378
1428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79
1427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81
1426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82
1425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2
1424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391
1423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394
1422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94
1421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396
1420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399
1419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1
1418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408
1417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11
1416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412
1415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15
1414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25
1413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