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94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청계천을 복원하는 대형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광교가 45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광교뿐 아니라 수표교 등 다른 다리들도 원래 모습으로 복원된다고 하니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 같은 공사 현장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게 '굴착기(포클레인)'다. 땅을 파는 기계인 굴착기를 흔히 '굴삭기'로 부르는데 이는 일본의 '대용한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바른 표기가 아니다. 일본인들은 한자 획수가 많으면 '상용한자'에서 발음이 같은 것을 찾아 뜻이 좀 다르더라도 획수가 적은 글자를 대용한다. 이를테면 나이를 말할 때 '20歲'를 '20才'로 쓴다. 일본어에선 세(歲)와 재(才)가 [사이]로 똑같이 발음되기 때문이다.

굴착기(掘鑿機)의 '鑿'과 굴삭기(掘削機)의 '削'도 [사쿠]로 발음이 같다. 그래서 복잡한 '鑿' 대신 '削'을 끌어와 '굴삭기'로 쓰는 것이다. 여기서 착(鑿)은 '삽으로 판다'는 뜻이고, 삭(削)은 '칼로 깎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공사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또 다른 단어로 '레미콘'이 있다. 레미콘은 굳지 않은 상태로 뒤섞으며 현장으로 배달하는 콘크리트 또는 그런 시설을 한 차를 말한다. 영어로 'ready-mixed-concrete'라 하는데, 이것을 일본인들이 줄여 만든 조어가 '레미콘'이다. 우리말로는 '회반죽, 양회 반죽' 또는 '회 반죽 차, 양회 반죽 차'로 순화해 쓸 수 있다.

환경이든 우리말이든 한번 훼손된 것을 되돌리는 데는 엄청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2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8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743
2072 누비다 風磬 2006.11.01 8563
2071 눈시울 風磬 2006.11.01 6378
2070 늦깎이 風磬 2006.11.06 6163
2069 닦달하다 風磬 2006.11.06 10968
2068 단골집 風磬 2006.11.06 8520
2067 단출하다 風磬 2006.11.06 7810
2066 대수롭다 風磬 2006.11.06 12633
2065 대충 風磬 2006.11.06 8624
2064 댕기풀이 風磬 2006.11.06 13178
2063 도무지 風磬 2006.11.06 10217
2062 風磬 2006.11.06 6882
2061 돌팔이 風磬 2006.11.16 8091
2060 되바라지다 風磬 2006.11.16 14389
2059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836
2058 뒤웅스럽다 風磬 2006.11.16 7552
2057 (뒷)바라지 風磬 2006.11.16 7131
2056 마누라 風磬 2006.11.26 8365
2055 망나니 風磬 2006.11.26 7947
2054 매무시 風磬 2006.11.26 7985
2053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163
2052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38
2051 무꾸리 風磬 2006.11.26 81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