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4 00:12

졸이다, 조리다

조회 수 683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졸이다, 조리다

'옛날 어떤 사람이 소실을 두고 있었습니다. 소실은 입 안의 혀처럼 굴었습니다. 본부인이 보약을 달여 올 때면 약의 양이 많았다 적었다 들쭉날쭉했으나 소실이 달여오는 것은 항상 먹기 좋을 만한 양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그 여자를 사랑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전말을 알게 되었습니다. 소실은 약이 너무 줄어들었으면 물을 타고, 너무 많으면 따라 버렸던 것입니다.'

이런 얘기가 있는 걸 보면 약을 달여서 적당한 양을 맞추기가 정말 어려운 모양입니다. 위 이야기에서처럼 약탕관에 물이 많아서 더 끓이는 것을 표현할 때 약을 '졸인다'라고 할까요, '조린다'라고 할까요? '졸이다'는 국이나 찌개·한약 따위의 물을 증발시켜 양을 줄이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오가피 2백g을 물 석 되에 넣어 한 시간 정도 졸여 마신다' '염전에 바닷물을 퍼다 부어 햇볕에 졸여 만든 것이 천일염이다' 등과 같이 쓰입니다.

'조리다'는 어육이나 채소 따위를 양념해 간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바짝 끓인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돼지고기를 양념장에 조려낸 음식' '무 대신 감자나 토란을 넣고 조려도 맛이 좋다'처럼 씁니다.

열을 가하는 목적을 생각해 보면 구별하기 쉽습니다. 물이 너무 많아서 양을 줄이는 게 목적이면 '졸이다'를 쓰고, '건더기'에 맛이 배도록 하는 게 목적이면 '조리다'를 쓰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9
2248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78
2247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59
2246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77
2245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4992
2244 애시당초 바람의종 2010.03.03 7654
2243 애벌빨래 風磬 2007.01.19 10842
2242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427
2241 애먼 바람의종 2010.11.21 12005
2240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2239 애매모호 바람의종 2008.11.14 5241
2238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586
2237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738
2236 애끓다, 애끊다 바람의종 2010.05.09 11142
2235 애끊다와 애끓다 바람의종 2010.03.15 13143
2234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168
2233 애기 바람의종 2009.12.04 7037
2232 애가 끊어질 듯하다 바람의종 2008.01.24 10727
2231 앞꿈치 / 뒤꿈치 바람의종 2010.03.19 11799
2230 앙징맞다 / 한자어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08.12.15 10704
2229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1
2228 앙갚음, 안갚음 바람의종 2011.11.27 13873
2227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7 Next
/ 157